[금요칼럼] 관념의 영토/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관념의 영토/황두진 건축가

입력 2020-04-23 20:34
수정 2020-04-24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오즈 야스지로는 일본 영화감독이다. 1930년대부터 60년대까지 활동했다.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구로사와 아키라와 스타일 면에서 많이 비교된다. 구로사와 아키라가 사무라이 등 드라마틱한 소재를 사용했다면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에는 평범한 일본 사람들의 일상적 삶의 풍경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영화적 스타일을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개념은 소위 ‘다다미 샷’, 영어로 ‘tatami shot’이다. 좌식 생활을 하는 일본인의 삶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카메라 앵글은 사람의 눈높이라는 생각에서 고안된 개념이다. 실제로는 사람의 눈높이보다 더 낮은, 허리 높이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삼각대의 키를 아주 낮춰야 해서 카메라맨이 종종 엎드려 촬영했다는 일화도 전한다.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온돌 샷’이라는 유사 개념은 이제 불가능하다. 비슷한 좌식 문화권이지만 이 문제에 있어서 한국은 이미 ‘다다미 샷’에 관념의 영토를 선점당했다. 특정 장면을 위해 낮은 카메라 앵글을 사용하는 경우는 있겠지만 그걸 ‘온돌 샷’이라고 우기기 어렵다. 일본이 우리보다 근대화가 빨라서 노출이 먼저 된 것뿐이라고 주장해 봐야 이미 남의 깃발이 꽂힌 고지는 우리 땅이 아니다. 문화란 때로 이렇게 잔인하고 무섭다. 빼앗긴 물리적 영토는 찾아올 수 있지만 관념의 영토를 회복하기란 정말 어렵다. 아예 포기하고 새로운 관념의 영토를 찾아나서는 것이 더 낫다. 관념의 영토는 물리적 영토와 달리 무한대로 늘어날 수 있다.

알고 보면 창작과 예술의 역사란 그런 것이다. 한 분야의 역사란 그 분야의 저작물의 역사 혹은 그 분야 사람들의 역사지만, 나아가 관념의 역사이기도 하다. 여기서 유사품은 존재할 틈이 없고, 자기의 영토를 확보하기 위한 전쟁은 실제 전쟁 이상으로 치열하다. 그래서 진정으로 훌륭한 작업을 남기려는 사람들은 개별 작업 못지않게 이들을 묶어 내는 관념을 갈고닦으려 한다. 그런데 아주 운이 좋은 경우라면 작가는 자기 일만 하고 관념을 다른 사람이 대신 가다듬어 주는 경우도 있다. 좋은 의미에서 비평가가 필요한 이유 중의 하나다. ‘다다미 샷’도 오즈 야스지로 자신이 붙인 이름일 수도 있지만, 그의 작업을 유심히 관찰하던 누군가가 붙여준 것인지도 모른다. 하여간 기막히게 잘 지은 이름이다. 짧고 명쾌하며 정곡을 찌른다.

이런 관점으로 한국 사회를 본다. 요즘 흥미로운 것은 한국인의 경험의 폭과 깊이가 그전에 비해 훨씬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종종 ‘국뽕’이라 희화화되기도 하지만 확실히 남이 가지 않았던 길을 자랑스럽게 가는 일이 늘어났다.

한국은 여러 면에서 오리지널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그에 상응하는 만큼 관념의 영토도 넓어지고 있을까. 한국에서 좋은 개별 작업이나 현상 못지않게 좋은 개념, 좋은 생각, 좋은 관념이 나오고 있을까. 무엇보다 이들을 가리키는 감칠맛 나고, 입에 짝짝 붙고, 무엇보다 핵심을 정확히 집어내는 단어들이 등장하고 있을까. 그래서 새로운 관념의 영토 여기저기에 깃발을 꽂고 있을까.

과문한 탓인지 모르겠지만 그런 이야기를 별로 들어본 적이 없다. ‘다다미 샷’말고도 ‘레드오션’, ‘롱테일’ 등 이름 잘 붙였다 싶은 우리 주변의 관념들은 대부분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져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것들이다.

이런 일이 가능하려면 특정 분야에서의 실력 못지않게 문학적 상상력 그리고 자기 언어에 대한 탁월한 감각이 필요하다. 즉 이것은 아주 특별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다만 다른 분야에서의 영토 전쟁과 다르게 인간의 삶에 깊이를 부여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과정이기도 하다. 이 치열하면서도 비파괴적인 영토 싸움에 이제 한국인들의 활약을 기대해도 좋지 않을까.
2020-04-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