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불로초를 갈구한 유명한 인물로는 단연 진시황을 꼽을 수 있다. 그는 서복이라는 사람을 시켜 불로초를 찾아오게 했는데, 대규모 행렬을 이끌고 길을 떠난 서복은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아마 불로초를 핑계로 두둑하게 노잣돈을 받아 떠나는 것이 당초 계획이었는지도 모른다. 작전이었다면 서복은 성공했고 돈만 날리고 안타깝게 기다리던 진시황은 요즘 기준으로는 한창 나이인 50세에 세상을 떠났다. 그게 억울했는지 아직까지도 그 전모를 알 수 없는 거대한 능을 만들어 거기에 묻혔다.
영생까지는 모르겠지만 오래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은 이제 상당 부분 현실이 돼 가고 있다. 2018년 유엔이 발표한 세계인구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순위 50위인 알바니아의 평균수명이 77.49세다. 1위인 일본은 84.74세인데 알바니아와의 차이가 7년 남짓이다. 대한민국은 일본에 이어 2위로 83.31세다. 세계 평균은 72세라고 한다. 진시황이 정말 얼마나 영생을 누리고 싶어 했는지는 모르지만, 이 정도 나이까지 살았더라면 당시로서는 대단한 기록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숫자로 보면 우리는 지금 이전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장수하고 있다. 로슬링 일가가 ‘팩트풀니스’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세상은 생각보다 괜찮고 인류는 그럭저럭 잘 해온 셈이다.
그러나 이것은 육체적 장수에 대한 이야기일 뿐이다. 이제는 ‘사회적 장수’를 걱정해야 할 상황이 됐다. 대가족의 품안에서 후손의 보살핌을 받으며 노후를 보내는 것은 앞으로 기대하기 힘들다. 아무리 훌륭한 복지제도라도 모든 문제에 답을 줄 수는 없다. 사회 속에서 불특정 다수와 어울려 스스로의 삶을 만들어야 하는 것은 결국 각자의 몫이다. 그렇다면 사회적 장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불행하게도 육체적 장수와 달리 여기에는 무슨 약 같은 것도 없고 수술을 해서 개선될 성질의 것도 아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인간의 꾀가 잘 통하지 않는다.
생각해 보면 특별한 방법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보편적인 것을 잘하면 된다. 연령, 성별 구별 없이 누구나 인정하는 그런 것들이다. 그중에서도 합리와 친절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합리란 현실을 존중하는 것이다.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 감각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뒤떨어진 부분을 솔직히 인정할 수 있다면 오히려 매력적이다. 대부분 굳이 아니라고 우기는 데서 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나. 즉 합리는 품위의 지름길이기도 하다.
친절의 가치는 더 말할 나위 없다. 누구에게도 막말하지 않는 것, 남의 흠결을 지적하지 않는 것,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손을 내미는 것, 이런 것들이 친절이다. 대체로 친절하면 주변에 사람들이 남아 있고 그래서 함께 살 수 있다. 친절로 온 세상을 구할 수는 없겠지만 나와 내 주변은 조금 더 살 만하게 만들 수 있다. 친절해야 외롭지 않다.
합리와 친절, 이 두 가지만 잘 지켜도 사회적 삶의 질은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있지도 않은 불로초를 찾아 심산유곡을 뒤질 필요도 없고, 용한 고수의 비방을 구하려고 애쓸 필요도 없다. 답은 이미 내 손안에 다 있고 심지어 공짜다. 대체로 세상의 좋은 것은 이렇게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이다. 동굴에서 3년 면벽하지 않아도 누구나 인정하는 것을 찾아서 그대로 하면 된다. 이렇게 보편의 가치를 인정하고 실천하는 것, 이것만큼 심오한 철학적 탐구도 따로 없다. 이 현대의 불로초, 장복해 볼 만하다.
2020-02-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