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서울신문STV 사장
신라 진평왕 시대 세워진 이 절의 애초 이름은 항사사였다. ‘삼국유사’에는 ‘항하사처럼 많은 사람이 속세를 벗어났으니 항사동이라 이름하였다’고 했다. 절집을 휘감아 도는 신광천의 흰모래가 아름답다. 이 물줄기에 부처가 발을 적신 갠지스강이라는 상징성을 부여한 것이다. 천수백년 전 신라사람들의 이 같은 이름 짓기는 세계문화교류사에 기록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이름이 오어사로 바뀐 이유 역시 ‘삼국유사’에 나온다. 항사사에는 혜공이 살고 있었는데, 원효가 종종 찾아가 가르침을 받았다. 어느 날 두 스님은 시내에서 함께 물고기를 잡아먹고 똥을 누었는데, 이때 누군가가 했다는 말이 여시오어(汝屍吾魚)다. ‘너는 똥을 누었을 뿐이지만 나는 물고기로 되돌려 놓았다’쯤의 뜻이다.
‘도통하려면 수행을 더 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오어사라는 이름은 여기서 비롯됐다. 혜공은 원효보다 한 세대쯤 앞선 인물이다. 일연은 ‘어떤 사람은 여시오어가 원효의 말이라 하지만 이는 잘못’이라고 했다. 훗날의 원효가 이룬 무애(無碍)의 경지가 어떤 수행 과정을 거친 결과인지 짐작하게 한다.
‘삼국유사’에는 원효에게 가르침을 준 고승이 여럿 등장하는데, 사복 또한 그렇다. 원효가 고선사 시절 사복의 어머니를 장사 지내며 “세상에 나지 말 것이니 그 죽는 것이 괴로우니라. 죽지 말 것이니 세상에 나는 것이 괴로우니라” 했다. 사복은 “말이 너무 번거롭다”면서 “죽는 것도 사는 것도 괴로우니라”로 고쳐 주었다고 한다.
경주는 자주 찾게 되는데, 시내에서 기림사나 감은사터, 대왕암으로 방향을 잡아 토함산을 넘어갈 때면 언제나 안타까운 마음이 일어난다. 원효가 만년을 보낸 절 고선사가 거기 있었기 때문이다. 고선사 주변에서는 1912년 서당화상비 조각도 발견됐다. 통일신라시대 원효를 추모하고자 세운 비석이다. 서당은 원효의 어린 시절 이름이었다.
고선사 터는 1970년대 덕동댐 건설로 물에 잠겼다. 탑은 1962년에 국보로 지정됐고, 수몰이 결정되자 1975년 절터 발굴조사도 벌였으니 이 절의 중요성을 모르는 것은 아니었다. 고선사 탑과 귀부, 금당과 회랑의 하부구조를 이루었을 초석과 장대석은 국립경주박물관 뒷마당으로 옮겨졌다.
절터는 동서 100m, 남북 80m에 이른다. 회랑을 두른 금당과 역시 회랑을 두른 탑이 나란한 절집은 우리나라에 고선사가 유일하다. 토함산 중턱, 정신문화에 한 획을 그은 원효의 흔적이 뚜렷한 폐사지에 9m가 넘는 고선사탑이 우뚝한 모습을 상상해 본다.
고선사의 처지는 사연댐을 지은 뒤 물에 잠기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를 떠올리게 한다. 울산시는 올해 10대 과제의 하나로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및 세계유산 등재’를 선정했다고 한다. 이제 지역에서도 제대로 된 보존을 생각하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고선사도 새로운 보존 논의를 시작할 때라고 본다. 현재 덕동댐이 감당하고 있는 물 수요의 대안을 마련하고 고선사를 제자리에 돌려주는 것이 최선이다. 덕동댐 주변에 절터를 복원하는 방법도 차선은 된다. 수몰 당시 절터 발굴조사는 중요한 지역 일부에서만 이뤄졌다. 절터의 제 모습을 알려면 일정 기간 덕동댐의 물을 빼고 사역 전체를 발굴조사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조금 과장하면, 지금 경주에는 무엇을 해도 좋을 만큼의 문화재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경주의 새로운 관광자원으로도 큰 몫을 해낼 고선사 터의 복원도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2020-01-2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