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세종의 예지/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금요칼럼] 세종의 예지/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입력 2019-12-26 17:08
수정 2019-12-27 0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한반도는 강대국들로 포위돼 있다. 우리 역사의 변함 없는 상수(常數)다. 그들은 항상 우리를 압박해 자신들의 이득을 취하려 한다. 요즘 진행되고 있는 주한 미군의 주둔비용 협상 문제도 그러하려니와 진즉부터 일본은 수출 규제라는 카드를 활용해 우리를 괴롭힌다. 곤혹스런 난제를 우리는 과연 어떻게 풀 것인가. 한낱 서생에 불과한 나에게 뾰족한 답이 나올 리가 없다.

그렇기는 해도 며칠 전 ‘세종실록’을 읽다가 나는 무릎을 쳤다. 세종 11년(1429) 4월과 5월의 기사였다. 명나라 사신이 곧 한양에 도착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세종은 대신들과 함께 현안을 검토했다. 왕은 명나라 사신들이 어떤 문제로 조선을 괴롭힐지를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부원군 이직, 좌의정 황희, 우의정 맹사성, 판부사 변계량 등을 불러 모은 다음 두 가지 현안을 꺼냈다.

첫째, 명나라 사신들은 연어가 잡히는 곳을 찾아가서 황제에게 바칠 젓을 직접 담그겠다고 했다. 그들의 말대로 하면 장차 큰 폐단이 생길 텐데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는가? 둘째, 사신들은 노래를 잘 부르는 소녀 30명을 데려가겠다고 한다. 과연 그 많은 소녀를 보내는 것이 옳겠는가?

원로 대신들은 숙의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견해를 내놓았다. “사신들이 연어의 생산지로 가지 못하게 하십시오. 연어는 강원도의 깊은 계곡에서 잡히는데 가는 길이 매우 험난해서 여로가 몹시 불편하다고 핑계대시면 좋을 듯합니다. 또 소녀들을 보내는 문제는 노래를 잘하는 아이가 거의 없어서 숫자를 채우지 못했다고 하시지요. 저들의 눈치를 보아서 10~15명의 소녀만 보내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세종은 대신들의 의견을 그대로 따랐다(실록 세종 11년 4월 24일). 당시 조선 측은 명나라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했다. 왕과 신하들이 허심탄회하게 논의해 현명한 대책을 수립했다고 평가하고 싶다. 무엇이든 착실히 준비하는 것은 성공의 지름길이다.

사신 일행이 한양에 도착한 뒤 세종은 그들의 언행을 정확히 관찰했다. 왕은 그 결과를 정리해 신하들과 공유했다. 세종의 분석에 따르면 사신들의 요구란 명나라 황제의 본의와는 무관한 것이라는 판단이 나왔다. 세종은 그 점을 대신들에게 차근차근 설명했다(실록 세종 11년 5월 8일).

지난번에 명의 사신들이 나에게 조선산 어물과 해초를 황제에게 바치라고 요구했다. 그래서 품질 좋은 어물을 맛보게 했다. 그때 그들이 하는 말이 “맛이 너무 짜서 황제에게 바치기에 부적합하다”고 했다. 그런데 이제는 말이 바뀌어 “해산물은 맛이 몹시 짜야만 한다”는 것이다. 앞뒤가 어긋난 그 말을 헤아려 보면 한 가지 결론이 나온다. 이 자들은 황제에게 진귀한 음식을 바치는 데 목적을 둔 것이 아니다. 조선의 물산을 많이 빼앗아 가려고 혈안이 돼 있다고 하겠다.

세종의 분석에 따르면 소녀 문제도 다를 바가 없었다. 처음에 사신들은 황제의 명령을 받들어 노래 잘하고 춤 잘 추는 조선 소녀를 데리러 왔다고 했다. 그러나 나중에는 말이 달라졌다. 노래나 춤은 중국에 데려가서 가르칠 테니 숫자를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윽박질했다. 세종은 사신들의 진의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다.

왕이 내린 결론은 명확했다. 사신들은 명 황제를 빙자해 되도록 많은 물품을 빼앗고, 소녀들도 최대한 많이 데려가려고 하는 짓이었다. 그들은 명나라에 돌아가 동료 및 부하들에게 으스대는 한편 황제에게 좋은 점수를 받으려고 할 짓 못할 짓을 가리지 않는 것이었다. 사신들의 진의를 알게 된 이상 무조건 그들이 바라는 대로 해줄 필요가 없었다. 지금 우리에게도 세종처럼 사려 깊고 용감한 지도자가 있으면 좋겠다. 그래야 어질고 충성스런 참모들도 많아질 것이다.
2019-12-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