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그러나’ 전성시대/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금요칼럼] ‘그러나’ 전성시대/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9-11-28 22:42
수정 2019-11-29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우리말 문법에 접속부사라는 게 있다. 앞뒤 문장을 적절히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다. 앞뒤 문장이 서로 관계를 맺되 상응하면 순접(順接)이라 하고 그 반대면 역접(逆接)이라 한다. 우리가 흔히 쓰는 접속부사 가운데 역접의 기능을 하는 단어로는 ‘그러나’, ‘하지만’, ‘그런데’ 등이 일감으로 떠오른다. 예전 고등학교 문법 시간에 역접부사를 배우면서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의 표현 기법과 그 다양함에 놀라 약간 흥분했던 기억이 새롭다.

정확한 통계 수치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1990년까지만 해도 다양한 역접부사를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신문·잡지나 책을 읽으면서 셀 수 없이 많은 역접부사를 늘 접했다. 역접의 강도에 따라 최적의 단어를 골랐는지 따져 보고, 그것으로 글쓴이의 수준을 마음속으로 평가하는 일이 재미있었다. 그런데 15년 정도 해외 생활을 하다 보니 우리말의 묘미를 즐길 여유조차 없었다. 더 적절한 영어를 부단히 학습하는 것만으로도 내게는 끝없는 버거움이었다. 그러다가 귀국한 지 10여년이 지나면서 나는 문득 역접부사의 다양성이 예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그러나’가 거대 공룡으로 성장해 다른 역접부사들을 평정하고 사실상 천하를 통일한 것 같다. 그 정도로 현재 ‘그러나’의 쓰임이 너무 빈번하다.

역접의 강도는 ‘그러나’가 가장 세다. 앞뒤의 내용이 거의 180도로 다를 때 사용한다. 이보다 강도가 좀 떨어지는 것으로는 ‘그렇지만’, ‘하지만’, ‘그럼에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세 개의 역접부사 사이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앞의 내용을 일부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상반되는 내용을 말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앞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수긍하므로 ‘그러나’에 비해서는 역접의 강도가 약하다. 좀더 약한 것으로는 ‘그래도’가 있다. 앞의 내용을 수용할 만하다고 여기지만, 서로 어긋나는 내용을 말하고자 할 때 쓰면 최적이다. ‘그렇지만’ 등도 앞의 내용을 일부 인정하지만, 그 인정의 폭이 좀더 넓을 때 바로 ‘그래도’가 최선이다.

이들에 비해 역접의 강도가 더 떨어지는 단어로는 ‘그런데’가 있다. 이 부사도 간혹 앞의 내용과 상반되는 내용을 말할 때 사용한다. 그런데 이 ‘그런데’에는 또 다른 쓰임새가 있다. 앞의 내용과 연장선에서 논지나 대화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아예 주제를 전환할 때 사용한다. 따라서 ‘그런데’가 갖고 있는 역접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낮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역접까지는 아니지만, 앞의 내용을 전적으로 수용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하는 부사로 ‘다만’이 있다. 앞 내용을 대체로 수용하되 내용을 부연하거나 어떤 전제조건을 내세울 때 주로 사용한다.

나는 이런 다양한 부사들이 서로 잘 어울려 각자의 쓰임새에 따라 적절히 등장하는 글을 읽고 싶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날이 갈수록 ‘그러나’가 더욱 위세를 떨치는 추세다. 대학에 몸담다 보니 나는 학생들의 보고서를 일상처럼 읽는 편인데, 이제는 일일이 교정을 해 줄 여력조차 없을 정도로 ‘그러나’ 전성시대를 절감한다. 앞뒤 문장이 충분히 교감할 여지가 적지 않음에도 학생들은 별 생각 없이 그 둘을 ‘그러나’로 연결한다. 신문기사나 학술논문에서도 ‘그러나’가 어지럽게 휘날린다.

‘그러나’ 전성시대는 우리 사회의 양극화가 다방면에서 심해져 상대방을 인정할 여유를 점차 잃어 가는 세태와 관련 있어 보인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지 않는 태도. 상대방 의견을 무조건 정면으로 부정하고 반대만 하려는 독선적 태도. 이런 사회 분위기와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가 난무하는 사회에서 민주적이고 상식적인 토론과 절충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보다 ‘그런데’의 쓰임이 훨씬 더 활발하다면 더불어서 함께 살아갈 만한 민주시민사회가 아닐까?
2019-11-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