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사회에 나와서는 생각이 달라졌다. 말이란 일방적인 자기표현이기도 하지만, 남과 적극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다. 학생 시절에 말을 경계했던 것에는 이유가 있었다. 과제물의 결과는 오직 자신의 성적일 뿐, 그 너머의 타인과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었다. 사회생활은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것이니 당연히 생각도 변해야 했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말, 특히 일하는 상황에서의 말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하나는 상대에게 정보를 구하는 것이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이고 별로 어렵지도 않은 것 같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질문하는 행위 자체가 본인의 무지함을 고백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심지어 질문의 결과로 받게 될, ‘그런 것도 몰라?’라는 비난이 두렵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단순히 정보를 구하는 행위도 상대방에 대한 믿음, 그리고 편안한 마음이 없으면 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쌍방적인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아무도 나에게 질문하는 사람이 없다면 스스로 자신을 돌아볼 일이다.
두 번째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이다. 즉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상대에게 그 상대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주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이를 그리 어려워하는 것 같지 않다. 사람에게는 기본적으로 남에게 친절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기에게 정보만 있다면 기꺼이 남에게 주고자 한다. 소셜 네트워크 같은 곳에서 흔한 현상이지만, 누군가 질문을 하면 여러 사람이 달려들어 열심히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종종 본다. 물론 그 정보의 성격에 따라 이런 태도에는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일부러 상대에게 정보를 주지 않으려고 할 수도 있겠다. 정보가 권력이 되는 경우인데, 내부 경쟁이 치열한 조직에서 흔히 보는 일이다.
마지막은 상대가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정보를 주는 것이다. ‘옆에서 보고 있었는데, 혹시 이런 게 필요하지 않나요?’하는 경우다. 이것이 가장 어렵다. 구성원들 사이에서 이런 경우가 자주 일어나는 조직이 있다면 적어도 의사소통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만하다. 이런 일이 일어나려면 여러 가지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일단 남에게 줄 유용한 정보가 있어야 하고, 남이 어떤 상황에 있는지 파악하는 배려심도 필요하다. 그리고 먼저 이런 말을 하는 것이 행여 남의 일에 참견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을 정도의 상호 신뢰가 절대적으로 있어야 한다. 이런 조건이 갖춰지지 않으면 오히려 상대로부터 뜨악한 반응이 돌아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회생활의 여러 일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직접 다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은 조직과 관계망을 통해서, 서로 도와가며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으면 일도 잘되지 않고 감정적으로도 앙금이 쌓인다. 단추를 누를 때마다 오작동이 나는 리모컨으로 무슨 복잡하고 큰일을 할 수 있을 것인가? 그래서 결국은 말이 중요하다. 아니 말이 중요하다는 생각 자체가 중요하다. 서로 열심히 말을 섞고 정보를 주고받는 사람들은, 이심전심이나 염화시중의 미소와 같은 애매한 과정에 의지하며 묵묵하게 자기 할 일만 하는 사람들에 비해 훨씬 더 효과적이고 심정적인 소모도 적다.
집은 말로 짓는다. 행여 집뿐이랴, 세상의 모든 것이 그러하다.
2019-09-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