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일자리는 누가 지키나/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금요칼럼] 일자리는 누가 지키나/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19-07-18 17:28
수정 2019-07-19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노동, 생계유지를 위해 하는 일에 관한 오해가 있다.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있다는 생각이다. ‘좋은 일’은 소득이 높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일임에 비해 ‘나쁜 일’은 반대의 경우다. ‘좋은 일’은 사람들이 선망하는 직업이고 ‘나쁜 일’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직업이다. 소위 직업의 위계다.

그런데 필자의 경험을 통해 보면 이런 생각은 오해이자 편견에 불과하다는 말씀을 드릴 수 있다. 30여년간 수백명의 노동자들을 만나 인터뷰를 하면서 얻은 결론은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은 적절한 조건이 주어질 때 그 일을 하는 사람에게 성취감을 준다는 것이다. 1980년대부터 필자가 만나본 생산직, 사무직, 서비스직과 전문직 노동자들은 직종이나 소득에 관계없이 자신의 노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1990년대 중반 박사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만난 봉제공장 미싱사는 자신이 번 돈으로 음악 재능을 지닌 딸아이의 피아노 교습을 보내는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몇 해 전 만난 대학의 청소노동자는 일찍 출근해 깨끗이 청소한 강의실에서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자신의 노동으로 가족을 부양하고 타인을 도울 수 있다는 사실이 이들이 지닌 자부심의 근원이다. 일자리의 질은 좋거나 나쁠 수 있지만 일 자체는 좋고 나쁨을 따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침에 출근해 열심히 일하고 저녁에 퇴근해 가족과 함께 하루를 마무리하는 일상은 사람들의 소망이자 권리다. 그런데 이런 지극히 평범한 소망이 무너지고 있다. 그것도 일자리를 안정화하겠다는 국책에 의해서. 7월 1일 한국도로공사 소속 톨게이트 수납노동자 1500여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에 따라 용역노동자였던 이들을 자회사의 간접고용 노동자로 전환하려는 회사의 방침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간접고용이 왜 나쁜가를 논하기 전에 필자는 왜 이 사람들이 간접고용의 대상이 되는가를 묻고 싶다. 사무직원도, 관리자도 아닌 수납노동자들만이 따로 자회사로 나가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직접고용으로 회사의 부담을 늘릴 만큼 중요한 업무가 아니며 앞으로 기계화될 수 있어 인력관리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깔려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방향을 달리해서 생각해 보자. 왜 이들의 업무는 중요하지 않고 기계화돼도 좋은 것인가? ‘중요함’은 누가 어떤 관점에서 판단하는가? 기계화한다는 결정은 누가 내리는가?

지난해 여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들렀다가 우연히 요한 크루이프 축구장에서 아약스팀의 경기를 보게 됐다. 유럽 챔피언스 리그 예선전 마지막 단계라 엄청난 군중이 모였고 열기는 거의 전쟁터를 방불케 할 만큼 뜨거웠다. 5만여명의 군중이 모여 밤 12시까지 경기를 보고 나오는 순간 나는 눈앞에 펼쳐진 광경에 입을 다물지 못했다. 쏟아져 나온 수만명의 군중들 발밑에 엄청난 쓰레기들, 음료수병과 음식을 싼 종이조각 등이 굴러다니고 있었다. 마치 쓰레기 집하장에 온 것 같은 착각을 느끼고 있을 때 환경미화원을 줄이지 말라는 암스테르담 시민들의 행동이라는 사실을 지인이 알려 주었다. 청소노동자에게 일거리를 줘 일자리를 지킨다는 주장이었다. 옳고 그름을 따질 수는 없지만, 시민들의 그 마음은 이해할 수 있었다.

일자리는 누가 지키는가? 단순노동은 쉽사리 기계화돼도 좋은 것인가? 사회적으로 필요하지만 단순하다고 여겨지는 일자리는 주로 여성과 중고령 노동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의 일터다. 톨게이트 수납노동자 중에도 중년층 여성이 대다수이며 장애를 가진 노동자들이 절반 가까이에 이른다고 한다. 사회적 약자의 일자리는 누가 지키나? 뙤약볕과 빗줄기 속에서 이들은 시위를 벌이고 있다. 더욱이 공공부문 아닌가? 시민들의 소박한 꿈과 권리를 지킬 책임은 정부에 있다.
2019-07-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