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이런 전시 어때요/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이런 전시 어때요/황두진 건축가

입력 2019-07-11 17:30
수정 2019-07-12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전시란 작가 입장에서는 그간의 과정을 돌아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다. 반대로 관객에게는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자신에게 호소하는 작가를 발굴하는 즐거움을 누리는 기회일 것이다. 한때는 전시를 하지 않는 것을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작가 정신의 발로라고 칭송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다. 작업은 밀실에서 하더라도 가끔 광장에 나와 자기를 남들 앞에 드러내고 평가받아야 한다.

요즘 한국 사회는 가히 전시의 천국이다. 민간에서 수시로 벌어지는 개인전, 단체전부터 시작해서 공공기관이 개입된 수많은 정기적 전시에 각종 부대 행사까지 포함하면 갈 데도 많고 볼 것도 정말 많아졌다. 국공립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전시 큐레이터 혹은 전시 디자이너 전담 조직이 생긴 지도 한참 되었다. 그 결과 전시물은 물론이고 전시 자체의 수준도 이전에 비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즐겁고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풍요로움 속에서 배부른 투정을 하나 하자면, 좀더 호흡이 긴 전시가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 매년 열리는 전시는 물론이고 격년으로 열리는 비엔날레, 3년마다 열리는 트리엔날레 등도 숨가쁘다. 새로운 경향이나 세상을 선도하는 작가를 즉시 보여 주는 일 자체는 좋은 것이지만, 그 호흡이 너무 가쁘면 과연 그 새로움과 예리함이 얼마나 의미 있는 일인지 궁금해진다. 사람은 정말 몇 년마다 새로워질 수 있는가.

그래서 한 가지 제안을 해보고 싶다. 과감하게 100년에 한 번 열리는 전시를 기획하는 것이다. 영어로는 센테니얼(centennial) 정도의 이름이 붙을 것이다. 전시의 주기가 이 정도가 되면 전시에 관한 기존의 개념은 거의 다 무너질 것이다. 우선 누구라도 이 전시에 두 번 나갈 확률은 거의 없다. 작가는 물론 기획자, 관객들에게도 이 전시는 인생에 단 한 번 경험하는 일이다. 그러나 이 전시를 계기로 사람들은 평소에 못 해 보던 정말 큰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 100년 후를 내다보는 전시를 한다는데 짧은 주기로 벌어지는 각종 유행이나 트렌드, 고만고만하게 튀는 생각들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물론 100년도 찰나라며 시간이 주는 중압감을 호기 있게 회피하려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래도 대부분은 헤아리기 어려운 큰 틀 속에서 애써 나아갈 방향을 가늠해 보려 할 것이다. 즉 이것은 문명적 사고를 보여주는 전시가 될 것이다.

우리는 얼마나 앞을 보고 사는 것일까. 긴 호흡으로 바라봐야 할 문제를 짧은 시간 속에서 파악하고 분석하고 결론지어 버리는 것은 아닐까. 내 분야인 건축만 해도 세상이 인정하는 건물의 수명은 이제 몇 십 년이 고작인 듯하다. 건물이 물리적으로 그 이상을 갈 수 있다는 것은 건축의 역사가 증명하는 것이지만, 사람들이 정말 오래 가는 건물을 원하고 그것에 마땅히 투자할 생각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물리적 수명보다 사회적 수명이 훨씬 짧은 건물은 결국 노력과 자원의 헛된 낭비에 불과하다. 거기에서 벗어나려면 이젠 좀 다른 생각이 필요하다.

영생까지는 아니어도 적어도 자기의 다음, 혹은 다음다음 세대 정도만이라도 염두에 둔 생각이 세상에 좀더 많아졌으면 한다. 이를 위해서 인위적인 장치를 생각해 본 것이 바로 100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전시인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에 그런 전시가 있었다고 가정해 보자. 1919년, 어떤 세상이었는지 우리는 안다.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살육전인 제1차 세계대전이 막 끝나고 한반도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났다. 이후 제국주의는 더욱 기승을 부렸고 불과 수십 년 만에 더 큰 전쟁이 온 세상을 휩쓸었다. 그때 사람들이 100년 후의 세상에 대해 조금 더 긴 호흡으로 진지하게 고민하는 기회를 가졌더라면 어땠을까. 지금이라도 그런 판을 여기 한반도에서 깔아 보는 것은 어떤가.
2019-07-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