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이후 수세기 동안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었다. 그 시절의 스승과 제자란 기껏해야 전문지식이나 주고받는 싱거운 사이가 아니었다. 그들은 죽기까지 학문적 이상을 공유했다. 사제 간의 굳은 결속 때문에 조선 후기에는 당쟁이 더욱 격화된 점도 없지 않았다. 그렇더라도 냉소적으로만 볼 일이 아니다.
진리공동체에 속한 선비들은 구차하게 목숨을 구걸하는 법이 없었다. 말이 너무 비장해진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선비가 사는 방식에는 각별한 점이 있었다. 그 시절 누군가의 스승 또는 제자가 된다는 것은 가벼운 결정이 아니었다. 생사를 초월한 결단이 있어야 했다. 한날한시에 뼈를 묻기로 결심하였을 때에만 남의 스승도 되고 제자도 되었으니 말이다.
조선의 사제관계는 세계사적 시각에도 대단히 독특하였다. 그것은 서양 중세의 기사단이나 일본의 사무라이들과는 질적으로 달랐다. 사무라이와 기사들은 단순히 주군에게 충성을 맹세하였을 뿐이다. 그들은 진리를 공유하는 집단이 아니었다. 18세기 이후 근대 시민사회의 문을 활짝 열어젖힌 영국과 프랑스의 계몽 사상가들도 조선의 선비들처럼 끈끈한 내적 결속력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그럼 오늘날의 한국 사회는 어떠한가. 최근에는 저명한 대학교수가 거액의 연구비를 사적으로 횡령하는 사건이 적발되었다. 일일이 언급하기에는 너무도 낯 뜨거운 교육 적폐가 도처에 쌓여 있을 것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교육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개인의 출세와 치부를 보장하기 위한 합법적 수단일 뿐이다. 많은 시민이 그렇게 비판한다. 사람들은 입만 열면 공교육의 폐해를 지적하고, 사교육 시장의 과도한 열기를 비난한다.
대학 교육도 별로이다. 애써 일류대학에 진학하면 훌륭한 인재가 되어 졸업하는가? 아니라면, 풍부한 교양을 갖춘 미래 시민으로 자라나기라도 하는가? 한국의 대학은 유난히 무능하고 비효율적이라고들 한다. 애초 학문 후속 세대를 양성하겠다며 시작된 ‘강사법’ 하나만 보아도 그러하다. 여러 차례 왜곡과 개악을 거쳐 마지막에는 입법 취지가 무색한 악법이 되고 말았다. 이 법의 수혜자여야 할 강사들도, 대학도 하나같이 머리를 절레절레 흔드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가.
교육은 국가의 100년 대계(大計)라는 제법 그럴 듯한 명제가 있었다. 이미 진부해진 쓸모없는 말이다. 과거 수십년 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육계는 시류에 떠밀리듯 서둘러 ‘개혁’을 되풀이했다. 당국은 줄곧 개선을 주장했으나 시민들로서는 개악으로 끝나지 않은 적이 없다.
기본에 충실한 학교, 공동체의 미래를 함께 숙고하는 교육을 실시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닌 모양이다. 그러나 교육의 사명이 거기에 있다면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이다.
옛날의 선비들은 교육에 꿈과 희망을 걸었다. 운이 나빠 정치적 풍파에 휩쓸리기라도 하면 스승과 제자들이 한꺼번에 극형을 당하였다. 그래도 그들은 진리를 향한 힘찬 발걸음을 멈추지 않았다. 내 한 몸의 편안함과 부귀영화보다는 몇 갑절 귀한 가치가 존재한다는 강한 신념을 공유했기 때문이다. 현재적 관점에서 보면, 그들의 지식은 여러모로 많이 부족하였다. 그럼에도 그들의 진리공동체가 사라지고만 지금, 세상이 더욱 삭막해진 것은 ?까.
2019-06-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