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먼저 이렇게 부르는 것을 용서하십시오. ‘영부인’ ‘이사장’ ‘여사’ 등 사람들이 선생님을 지칭할 때 쓰는 여러 호칭을 접어두고, 저는 그냥 ‘선생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사람들 누구나 가질 수 있는 평등한 이름이고 사람이 사람에게 가장 큰 존경을 표할 수 있는 말이 이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선생님을 직접 뵌 적은 없습니다. 대한민국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TV나 지면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나란히 선 선생님을 봐 왔을 뿐입니다. 그럼에도 돌이켜 보면 제 삶에서 지울 수 없는 몇 가지 추억을 선생님께 얻었습니다.
10대의 어느 날엔가 뉴스에서 선생님 댁 대문에 나란히 걸린 문패를 보았습니다. ‘김대중’ ‘이희호’. 1970년대 여성에 관한 책 한 권 없던 시절 어린 소녀에게 그 사진이 주었던 충격은 지금도 생생합니다. 여성과 남성은 저렇게 사는 거구나. 비슷한 모습으로 사셨던 부모님의 가르침과도 같아 소녀는 며칠을 득의양양하게 보냈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진 속의 선생님은 분명 요즘 말로 ‘튀는 분’이셨습니다. 동지이자 배우자로 긴 세월 모진 탄압을 겪었던 정치인 김대중을 돌볼 때도, 1998년 IMF의 칼바람을 맞으며 임기를 시작하는 대통령 곁에 계실 때도 선생님은 분명 도드라지셨습니다. 큼지막한 안경과 단정한 파마머리, 따뜻하지만 어딘가 범접하기 어려운 눈빛, 굳게 다문 입술 등 그동안 우리가 봐 왔던 정치인의 부인과는 다르셨습니다. 반듯하고 지적인 모습의 선생님은 누구의 부인이라기보다 ‘지식인’ ‘여성운동가’로 보였습니다.
저희들은 그런 선배들을 보고 싶었습니다. 누군가의 부인 또는 어머니로 살아가지만, 결코 자신의 이름을 잃어버리지 않는, 독립적 인간으로서의 여성. 자신의 철학과 의지, 지식과 노력으로 세상을 더 평등하고 자유롭게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 남성과 여성이 어떤 관계 속에서 함께 일하고 살아가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모색하는 여성. 부와 권력, 지위보다 ‘올바름’의 가치를 믿고 굴절하지 않도록 자신과 타인의 삶을 지켜가는 여성.
어제 선생님과 가까웠던 지인 한 분으로부터 생전 선생님의 가르침을 전해 들었습니다. 여성의 정치세력화에 관심이 높으셨다지요. 성별 격차를 줄이고 민주주의 수준을 높여가기 위해서는 결국 ‘정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100퍼센트 동의합니다. 지금 한국의 정치사회는 국민에게 보여서는 안 될 치부를 거침없이 드러내며 정치에 대한 환멸감을 주고 있습니다. 학자들이 이야기하는 탈(脫)정치화 현상이 쓰나미처럼 밀려올 것 같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시민사회는 촛불이란 민주주의 통과의례를 거치면서 한층 성숙해졌습니다. 풀뿌리 시민들의 각성만큼 정치사회가 성숙해질 수 있도록 여성들이 어떻게 노력해야 하는지 고민하겠습니다.
선생님은 평소 가족들, 특히 며느리들의 높은 존경을 받으셨다지요. 저는 여성과 여성을 가르고 갈등하게 만드는 사회제도와 문화가 가장 싫습니다. 제가 전혀 동의할 수 없고 쓰지 않는 말이 ‘여성의 적은 여성’이란 말입니다. 부족한 제 경험으로도 여성은 늘 여성의 친구이며 동지였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선생님의 삶은 여성들이 어떻게 ‘자매애’를 실천해 가는지 모범을 보여주셨습니다.
선생님께서 직접 고르셨다는 영정이 더 없이 아름답습니다. 일생을 정의롭고 따뜻하게 살아오신 분의 품격이 느껴집니다. 수백 송이 국화에 둘러싸여서도 더 환하게 빛나는 선생님의 모습을 기억하며 여성과 남성이 어떻게 서로 지지하고 협력해 가야 하는지, 여성들은 어떻게 자매애를 가꾸어 가야 하는지 모색하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선생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편히 쉬십시오.
2019-06-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