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2007년 강의를 처음 시작할 때 학생들의 관심이 쏠렸던 것은 빈곤이나 경제적 불안, 아버지의 실직과 어머니의 취업으로 인한 돌봄의 공백 같은 것이었다. 어린 시절이었지만 한국사회를 휩쓴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라는 외환위기의 돌풍을 기억하고 여태 회복되지 않은 가족의 경제적 곤란이 고민거리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학생들의 발표 주제는 연애나 동거, 낙태법의 문제로 옮아갔다. 자유로운 연애와 임신중단의 권리에 대한 열망이었다. 3~4년 전부터는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과 여성의 독박육아, 섹슈얼리티, 이혼과 재혼 등이 자주 다뤄지는 주제가 됐다. 최근에는 데이트폭력, 가정폭력, 동성애가족으로까지 주제가 넓혀졌다. 한두 가지로 묶을 수는 없지만 분명 학생들의 관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그것도 아주 빠른 속도로.
반대로 학생들의 관심이 줄어드는 대표적인 주제가 부부관계, 부모 노릇에 관한 것이다. 결혼이 자신의 현실이 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인지 결혼 이후의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부모 노릇을 주제로 한 강의시간에는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을 강단에서도 느낄 수 있을 정도다. 초저출산 사회의 풍경이다.
이런 세대의 20년 후는 어떤 모습일까? 쉽게 상상할 수는 없지만 외국의 경험처럼 부모 세대와는 다른 가족 속에서 살아갈 것이다. 문제는 더 유연해지고 불안정해진 가족을 보완하기 위한 사회적 대책이 필요하리라는 것이다. 개인화되어 가는 사회에서 가족이나 친족이 돌봄이란 무거운 짐을 오롯이 감당하기는 벅차기 때문이다. 또 한국사회의 많은 가족 문제가 사회적 고립에 원인이 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최근 발생한 의붓아버지와 친모의 자녀 살해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친부와 친모, 의붓아버지 누구도 반기지 않았던 어린 소녀가 긴 학대의 시간 끝에 생명을 잃었다. 아이는 부모의 집과 아동보호기관을 떠돌았지만 가족도 국가도 아이를 돌보지 못했다. ‘가족’과 ‘국가’ 사이에 아이를 돌볼 또 다른 주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필자는 해결책을 ‘지역사회’에서 찾고 있다. 가족이 살아가는 일상의 공간에서 가족을 지지하고 가족의 빈틈을 채울 수 있는, 때론 가족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가족과 국가를 연결하는 버팀목이 될 수 있는 그 무엇은 가족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급속한 사회 변동으로 지역사회도 많이 무너지고 과거의 지역사회가 가족에게 늘 우호적인 것도 아니었지만, 다행히 지역사회는 새롭게 재구성되는 중이다. 필자가 살고 있는 공간인 춘천에서도 그런 실험이 시작되고 있다. ‘리빙랩 프로젝트’이다.
아파트 주민들이 모여 지렁이를 키워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실천에서 더 큰 성과는 주민들이 친해지고 지렁이가 반려동물이 되었다는 보고, 30대 남성들이 모여 음식을 만들어 나누며 가족 돌봄을 토론한다는 이야기, 자해불안을 겪는 젊은이들이 스스로 치유책을 찾아가는 모임 등 13개의 팀이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의 연결망을 튼튼히 하는 실험에 참여했다. 필자도 학생들과 춘천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했다. 이 글을 읽고 있을 때쯤이면 춘천시청 앞 광장에는 이들이 진행해 온 100일간의 노력이 정책박람회로 펼쳐질 것이다. 가족 문제의 또 다른 답은 지역사회에 있다.
2019-05-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