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집과 가구/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집과 가구/황두진 건축가

입력 2019-05-02 17:20
수정 2019-05-02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집을 보면 그 사람을 안다’는 말이 있다. 집이란 거기에 살고 있는 사람의 가치관과 취향, 삶의 철학이 반영된 결과이므로 사람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는 논리다. 언뜻 들으면 맞는 이야기 같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비슷한 말들도 많다. ‘친구를 보면 그 사람을 안다’, ‘옷을 보면 그 사람을 안다’, ‘차를 보면 그 사람을 안다’ 혹은 ‘책을 보면 그 사람을 안다’ 등이다. 식도락에 대한 관심이 커진 요즘 같으면 ‘뭘 먹고 마시는지 보면 그 사람을 안다’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런 말은 대부분 단정적으로 그리고 순식간에 타인을 평가하려는 의도에서 나온다.

과연 누가 만든 말일까. 아마도 해당 분야 종사자, 적어도 이런 것들이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따라서 역으로 ‘하는 말을 보면 그 사람을 안다’도 성립한다고 하겠다.

집은 특별한 존재다. 자기 맘에 드는 집을 고를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사람은 정말 드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파트는 닭장, 콘크리트 정글, 혹은 국민 기숙사라고 종종 비하되지만 여전히 절대 다수의 사람은 아파트에 산다. 누군가 나타나, ‘이곳에 살고 있는 걸 보니 당신은 이런 사람이군요’ 한다면 이에 동의할 사람은 많지 않다. ‘이 집으로 나를 평가하지 말라’고 하거나 ‘그냥 나에게 주어진 상황일 뿐’이라고 할 것이다. 즉 요즘 같은 세상에 어떤 집에 사느냐는 사람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판단 기준이라고 보기 어렵다. 사람들은 어떤 곳에 그냥 살고 있을 뿐이다.

다른 이야기들도 사실 마찬가지다. 마트에 서서 컵라면을 먹고 있는 사람이 알고 보니 삶의 성찰을 담은 심오한 책의 저자일 수 있다. 심지어 단지 그때 시간이 없었을 뿐인 진지한 식도락가일지도 모른다. 옷은 허름하게 입고 다니는데 음악에 대한 이해가 남다른 사람도 얼마든지 있다. 반대로 취향도 좋거나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 다른 면에 있어서 그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또 얼마나 흔한가. 그러니 ‘무엇을 보면 그 사람을 안다’란 그 대상을 잘 알고 싶은 마음보다는 자기 관점을 내세우는 것과 다름없다.

정말 사람을 이해하는 데, 아니 그 이전에 삶을 잘 만들어 가는 데 필요한 이야기를 한 가지 하자면 바로 가구에 대한 것이다. 가능한 한 이른 나이부터 자기 가구를 하나씩 장만하고 모으는 문화가 우리 사회에 생기기를 바란다.

예를 들어 처음으로 학교에 입학하는 아이에게 평생 쓸 수 있는 근사한 책상 위 스탠드 조명을 사 주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아이는 어렸을 때부터 좋은 미감과 품질의 물건을 사용하는 경험을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어른이 되었을 때 그 스탠드 조명은 어린 시절의 추억이 담긴 귀중한 물건이면서, 동시에 부모님의 안목과 지혜에 대한 살아 있는 증언이 된다.

좋은 물건을 사서 오래 쓰는 것의 즐거움을 한번 알게 되면 세상의 다른 것들에 대해서도 훨씬 더 신중해진다. 자기의 손때가 묻은 물건만큼 사람에게 편안한 만족감을 주는 것은 없다. 젊은 시절에 조금 무리해서 어렵게 장만한 좋은 의자나 책상 등은 평생의 동반자가 될 것이다. 살다 보면 누구나 이사를 하게 되는데, 집과 달리 가구는 가져갈 수 있다. 그래서 가구를 잘 갖추고 있으면 어디에서 살건 자기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정성껏 모은 가구들은 그다음 세대도 반가워하며 기꺼이 물려받을 것이다. 이렇게 취향은 문화로 이어지고 개인의 삶은 역사가 된다.

‘집을 보면 그 사람을 안다’에 대해서는 여전히 동의하지 못하겠다. 그러나 ‘가구를 보면 그 사람을 안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집보다는 가구가 사람의 분신에 더 가깝다. 여전히 속단은 금물이지만 말이다.
2019-05-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