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1957년 2월 미국의 어느 편집자가 출판사를 찾고 있던 한 예비 저자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다. 저자의 이름은 메리 린리 테일러. 남편인 앨버트 테일러와 함께 서울 인왕산 중턱의 서양식 벽돌 주택 딜쿠샤를 짓고 살았다. 이 집에서의 추억을 담은 ‘호박 목걸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인물이다. 그 책은 그녀의 사후 아들에 의해 출판됐으므로, 당시 이 편집자가 검토했던 원고는 다른 내용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그녀의 전작인 ‘호랑이의 발톱’이 아니었을까. 마침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딜쿠샤 전시에서 저 편지를 접하고는 한동안 여운이 가시지 않았다.
마음에 와서 닿는 것은 편집자의 태도다. 특이한 소재만으로 좋은 이야기가 되는 것은 아니며, 그것을 진실하고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는 것. 이 말은 두 가지 점에서 음미해 볼 만하다. 일단 통상적인 소재주의를 부정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과장이나 허세 등 작위적인 태도를 배격한다는 점이 그렇다. 더 나아가 이 편집자는 작가가 겪은 사건이 아니라 작가의 능력을 관심의 중심에 놓고 저 편지를 쓴 것이기도 하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반대로 생각하고 있을까를 염두에 두고 보면 더욱 그렇다.
근사한 소재가 있으면 대단한 결과를 만들 것이라는 환상은 전염병처럼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많은 사람이 마치 금광을 찾아 나서듯이 새로운 소재, 특이한 경험, 유별난 장소, 사업적 아이디어를 강조한다. 그러다 보니 발은 땅에서 뜨고 주변의 일상은 갈수록 보잘것없이 느껴진다. 하지만 결국 세상은 둥글고 먼 곳을 향해 떠났던 발걸음은 다시 그 자리로 돌아오게 마련이다. 파랑새를 찾아 나선 마테를링크의 틸틸과 미틸(‘치르치르와 미치르’)이 결국 집 앞에서 파랑새를 발견했던 것처럼.
소재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소재를 다루는 능력이 더 중요하며 결국 이것은 ‘누가’라는 사람의 문제로 귀결된다. 그렇지 않고서는 그냥 평범한 부부의 일상을 다룬 밀레의 만종이 명작이 된 이유를 설명하기 힘들다. 미켈란젤로는 물론 성모자나 역사적 인물 등을 소재로 작업을 했지만, 농부나 심부름꾼 소년과 같은 평범한 대상으로도 여전히 명작을 만들었을 것이다. 반면 근사한 소재를 가지고 지극히 지루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범재들은 또한 이 세상에 얼마나 많은가. 생각과 재주가 모자란 작가가 쓴 구국영웅의 전기보다 훌륭한 작가가 쓴 어느 봄날 오후 마당을 오가는 개미의 이야기가 훨씬 더 근사하지 않을 것인가.
결국 사람의 문제다. 사람은 시키는 대로 따르는 기계나 도구가 아니며 자기 생각과 기질이 있는 존재다. 같은 소재라도 누가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천차만별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세상의 시선은 한사코 그 핵심을 비켜나곤 한다.
요 며칠간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각종 프로젝트의 관련 지침을 들여다보았다. 정말 그 일을 잘할 사람을 찾겠다는 것인지, 아니면 사람은 누구여도 상관없으니 형식적인 조건만 맞으면 된다는 것인지 혼란스러웠다. 그래서 세금을 세금대로 들어가지만, 결과물의 질은 좀처럼 향상되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뭘 할까요’만 신경 쓰고 ‘누가 그 일을 할까요’는 뒷전이 돼 버린 탓이다. ‘누가’의 문제는 결국 ‘어떻게’의 문제이며, 그것이 ‘무엇’의 문제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저 사려 깊고 진중한 어느 편집자의 편지가 그만큼 절실하게 다가왔다.
2019-03-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