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하남 교산 신도시와 1500년 역사도시의 상생/서동철 서울신문STV 사장

[금요칼럼] 하남 교산 신도시와 1500년 역사도시의 상생/서동철 서울신문STV 사장

입력 2019-03-07 17:08
수정 2019-03-08 0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동철 서울신문STV 사장
서동철 서울신문STV 사장
하남시는 1989년 출범했지만, ‘BC 18년 백제 온조왕이 하남위례성에 도읍했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있을 만큼 역사가 깊다. 학계는 하남 이성산성을 백제성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발굴조사에서는 통일신라 산성이라는 증거가 잇따랐다.

풍납토성을 왕성으로 삼았던 백제는 고구려에 밀려 남하했고, 이후 일대를 차지한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은 좀더 안전한 지금의 하남을 치소(治所)로 삼았던 것이 아닐까 싶다. 신라는 664년 한산주, 670년 남한주, 757년 한주라 부르며 이 지역을 한강 유역 통치의 근거지로 삼았다. 고려는 940년 땅이름을 광주(廣州)로 바꾸었다.

그러니 옛 ‘경기도 광주땅’의 중심도 하남이었다. 지역의 대표 교육기관인 광주향교도 하남시에 남아 있다. 광주향교가 있는 이성산성 동쪽 교산동은 행정기관 밀집 지역이었다. 인구가 적지 않은 도시였을 것이다. 삼국시대 이후 ‘1500년 역사도시’라는 표현이 결코 과장이 아니다.

과거 이 도시의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이다. 높이 288㎝의 압도적 크기에도 균형 잡힌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이 철불은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 사이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런 규모와 수준의 불상이 조성됐다는 것은 걸맞은 세력이 이곳에 자리잡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하사창동 철불은 광주향교에서 동남쪽 덕풍천 건너에 있는 천왕사터에서 옮겨진 것으로 학계는 추정한다. 경주 황룡사와 맞먹는 규모로 추정되는 천왕사는 불교국가 신라가 한산주 주도(州都)에 조성한 대표 사찰이었다. 사창동(司倉洞)이라는 땅이름 역시 고려시대 이후 이곳에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광주향교와 천왕사터가 있는 교산동과 춘궁동 일원을 3기 신도시 건설 대상 지역의 하나로 공표했다. 하남 교산 신도시다. 신도시 계획 구역은 신라에서 고려, 조선 시대에 이르는 한주 및 광주의 옛 읍치와 대부분 일치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도시의 입지를 보는 눈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 이 구역에서 벌어진 그동안의 소규모 발굴조사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역사의 흔적이 겹겹이 드러나곤 했다.

지역에서는 중요한 역사가 중첩되어 있는 문화유산 밀집 지역에 신도시를 세울 수 있는 것인지 논란이 비등한다. 신도시 건설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문화재 발굴조사 및 보존 과정에서 계획이 수정되고 입주가 늦어지는 것 아니냐고 우려한다.

개인적으로 교산 신도시 건설을 반대하지 않는다. 지금 현장은 중소공장 및 주택의 난개발로 특단의 조치가 없는 한 최소한의 문화유산 보존조차 어려워 보인다. 그러니 신도시 개발이 바람직스럽게 이루어진다면 유구한 역사를 어느 정도는 되살릴 수 있다는 기대도 없지 않다.

정부는 설계를 먼저하고 구제발굴이 이어지는 기존 택지지구 개발 방식을 하남 교산에서는 포기하기 바란다. 지하에 문화재가 있건 말건 이리저리 줄을 그어 도시계획을 세운 뒤 형식적 발굴조사 이후 시늉뿐인 보존을 하는 방식은 버려야 한다.

어디를 파도 문화유산이 무더기로 나올 수밖에 없는 교산지구다. 기존의 신도시 건설 방식으로도 입주는 크게 지연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아예 전면적인 발굴조사를 우선하고 그 결과를 보고 신도시를 설계하는 개발 방식을 권하고 싶다.

발굴조사 결과 문화재 보존이 필요한 면적이 늘어나면 집 지을 땅은 다소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그럴수록 역사와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신도시라면 걸맞은 분양가를 흔쾌히 감당할 입주자는 얼마든지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 이런 정도의 수준 높은 거주 여건을 갖춘 신도시라야 정부가 의도하는 ‘강남 대체’ 효과도 거둘 수 있는 것 아닐까.
2019-03-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