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소소한 고급/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소소한 고급/황두진 건축가

입력 2019-02-21 17:32
수정 2019-02-21 2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21세기 현대인의 즐거움 중 하나가 온라인 쇼핑, 그리고 그 결과물인 택배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출입구 어귀에 놓여 있는 누런색 택배 상자를 보는 순간 가슴은 뛰기 시작한다. 스스로 욕망과 호기심을 갖춘 정상적 인간임과 동시에 구매력을 갖춘 당당한 소비자임을 확인하는 순간이다.

정작 그 택배가 같은 건물의 다른 사람에게 온 것일 때 그 실망은 기대만큼이나 크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저 방대한 시스템의 어딘가에서 나의 택배가 시시각각 정확하게 나를 향해 오고 있음을 모르지는 않는다. 배송조회를 하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조물주처럼 한눈에 볼 수도 있다. 카드를 한 번 휘둘렀을 뿐인데 이런 전지전능한 느낌이라니.

최근에 부쩍 이런 즐거움을 탐닉했다. 크고 작은 택배 상자가 온 세상으로부터 나를 향해 몰려들었다. 내용물에 따라 포장한 상자의 모양도 다양했다. 통통한 것, 넓적한 것, 길쭉한 것 등등. 이들을 모두 분류해서 정확히 목적지까지 보내는 시스템이란 과연 어떤 것일까 생각해 보면 아찔하다. 그 안에 담긴 것들에는 공통점이 있었다. 일단 비싸지 않았다. 심지어 배송비가 더 들어간 경우도 있었다.

또 다른 공통점은, 그 자체로는 별 의미가 없으나 다른 물건과 결합했을 때 그 쓰임새를 아주 근사하게 해 주는 것들이었다. 그리고 이것들로 인해서 내 주변은 갑자기 고급이 되었다. 단, 내가 생각하는 고급이란 이런 것이다. 자체의 성질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그것을 다룬 방식이 문제다. 비싼 대리석을 성의 없이 바른 벽보다는 싸구려 타일의 줄눈을 서로 끊어지지 않게 3차원적으로 구석구석 잘 마무리한 벽이 더 고급이다. 즉 사물 그 자체보다 사물과 사물 간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

택배로 온 물건들은 소소했다. 예를 들자면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하나로 감아 가지런히 정리해 주는 것이 있었는데, 이 물건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았지만 뭐라고 부르는지는 몰랐다. 몇 차례의 검색을 통해 ‘헬리컬 밴드’, ‘스파이럴 튜브’같은 전문적인 이름은 물론, ‘돼지꼬리’와 같은 토속미 넘치는 이름으로도 부른다는 것을 알았다. 택배가 나를 향해 오는 과정만큼이나 내가 택배를 향해 가는 과정에도 그 나름 과정과 절차가 있었던 셈이다. TV를 바퀴 달린 스탠드에 달아 수시로 이동해가며 쓰고 있었는데 여러 가닥으로 노출된 전원선과 케이블선 등을 이것으로 감싸니 아주 보기 좋게 되었다. TV의 품격도 올라갔고 방의 분위기도 좋아졌다. 이런 일을 계속하다 보면 대부분의 물건은 그대로인데 어느 순간 전반적인 느낌은 확 달라진다.

관심을 갖고 찾아보면 세상에는 이런 물건들이 많다. 우리가 잘 쓰지 않을 뿐이다. 가로등이 도로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유심히 관찰하면 볼트의 머리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그 볼트 머리에 작은 플라스틱 캡을 씌우는 것만으로도 도로의 품위는 한결 올라간다.

미려한 타일로 마감한 거실 바닥이 의자에 자꾸 긁히는가? 동네 편의점에 가면 의자 다리에 붙이는 고무나 연질 플라스틱 재질의 물건이 이미 준비되어 있다. ‘스크래치 방지 의자 다리’, ‘의자 발 커버’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이것을 붙이면 소리도 나지 않고 바닥도 상하지 않는다. 사람과 물건 모두가 행복해진다.

우리의 삶을 보다 낫게 해 주는 것은 어쩌면 이렇게 소소한 것들인지 모른다. 아무리 좋은 물건들이 많아도 이런 작은 것들이 그 사이사이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지 않으면 그 쓸모와 의미를 다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있느냐, 나는 세상을 어떻게 연결하고 있느냐, 자신을 돌이켜 보게 된다. 이렇게 소소한 물건의 의미를 생각하다가 철학적 사색에 빠지기도 하는 것이다. 문득 바깥을 보니 택배가 왔다.
2019-0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