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미국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샬러츠빌을 그냥 지나칠 수 없고, 당연히 시내 중심가는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몇 년 전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중심 가로인 이스트 메인스트리트의 카페에 앉아 이 매력적인 거리를 관찰하기 시작했다. 한 가지 의문이 있었다. 이 거리에서 샬러츠빌만의 개성은 어떤 것일까? 무엇이 이 거리를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을까? 1762년에 세워진 도시이므로 역사는 250년 남짓, 그리 오래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시간의 두께를 느끼기에는 충분하다. 그런데 생각보다 유서 깊은 건물들이 그리 많지 않았다. 적어도 고색창연한 분위기는 아니었다. 미국 역사와 관련된 유명한 사람이나 사건을 기리는 기념물이 여기저기 있기는 했지만 그 존재감은 크지 않았다.
거리의 상점이나 가게들도 특별한 것은 없었다. 도시와 역사를 함께한 것같은, 소위 미국식 노포(老鋪)들이 없지 않았으나, 대부분은 그냥 어디에 가나 볼 수 있는 것들이었다. 공정무역상점 같은 글로벌 체인점도 있었다.
기대했던 것만큼 역사적 분위기에 흠뻑 빠져들 정도가 아니어서 실망했느냐 하면 절대 그렇지 않다. 오히려 매력 있는 거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일반적인 답을 하나 얻었다는 느낌이었다. 지역만의 고유한 개성은 사실 그다지 많이 있을 필요가 없다. 오히려 지나치면 민속촌 분위기가 날 뿐, 살아 있는 도시의 느낌이 사라져 버린다. 이 도시의 매력은 오히려 평범하고 보편적인 것들에 있었다.
일단 엄청난 키의 가로수가 두 줄로 서 있었다. ‘길에 큰 가로수가 있어서 싫어’라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자동차는 이면도로로 다니고 거리는 철저하게 보행자 전용이었다. 이 역시 ‘자동차가 없는 거리는 싫어’라고 할 사람은 없다. 무엇보다 거리며 건물이 모두 깨끗했다. 바닥의 보도블록도 전혀 울퉁불퉁하지 않고 아주 정갈하게 깔려 있었다. 건물이나 간판의 재료나 색상, 디자인은 하나도 같은 것이 없었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 통일감이 있었다.
이 점이 중요했다. 결국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사람이 세심하게 조율하고 배려한 결과다. 이런 것들은 굳이 역사에 관심이 없어도, 굳이 샬러츠빌에 관심이 없어도 누구나 경험하면 좋아한다. 즉 보편의 힘이다. ‘역사 도시 샬러츠빌’의 매력은 알고 보면 이러한 기반 위에 만들어지고 있었다. 진짜 역사의 흔적은 기대보다 많지 않았지만 큰 문제가 아니었다.
어림짐작이지만 이러한 보편성과 개성의 비율은 8:2 정도만 되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나만의 개성’, ‘우리 도시만의 이야기’, ‘특성화 전략’ 같은 용어가 난무하지만, 의외로 진정한 경쟁력은 평범하고 보편적인 것을 잘 다룰 때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작은 도시에서 대학의 존재는 천군만마와도 같다. 샬러츠빌도 버지니아 대학이라는 명문의 덕을 크게 보고 있다. 그러나 대학이 있어도 도시 외곽에 따로 떨어져 있으면 시너지를 기대하기 어렵다. 도시와 한몸이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보편이고 상식이다. 이런 것들을 잘하면 일단 기본은 된다.
하지만 보편의 기반이 약하면 그 위에 아무리 개성을 더해도 결국 지속되지 못한다. 보편은 가장 강력한 개성이다.
2019-01-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