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탈입망(坐脫立亡)이란 죽음의 순간을 앉거나 선 채로 맞이하는 것이다. 그만큼 법력이 깊음을 보여 준다. 그런데 어느 스님의 좌탈입망 순간이라는 사진을 보고는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죽음이란 미혹과 집착에서 벗어나 대(大)고요에 접어드는 순간이라고 불교에서는 가르친다. 하지만 사진 속 스님은, 맑은 정신이었다면 당신 스스로 원치 않았을 참혹한 모습이었다. 그것도 살아생전의 미혹과 집착을 버리기는커녕 죽음 이후의 세계로까지 떠메고 가는 것이 아닐까 싶을 만큼 연출된 흔적이 역력했으니 안타까웠다.
얼마 전 돌아가신 오현 스님은 시조시인이기도 했는데, 필자가 서울신문에서 문화부 기자 생활을 하는 동안 신춘문예의 시조부문 심사를 맡기도 했다. 몇 년 전 마지막 전화통화를 했을 때 그는 매우 취한 목소리였는데, 그 때문이었는지 수화기 너머에서는 여느 때보다도 유쾌함이 느껴졌다는 기억이 있다. 하지만 술에 취해 껄껄거리는 중이라니….
오현 스님은 어느 해 ‘세계평화시인대회’에서 즉흥적으로 시조를 지어 낭송하기도 했다. ‘삶의 즐거움을 모르는 놈이 죽음의 즐거움을 알겠느냐/ 어차피 한 마리 기는 벌레가 아니더냐/ 이 다음 숲에서 사는 새의 먹이로 가야겠다.’ 중이 어떤 모습으로 눈을 감았는지가 왜 중요한지 모르겠다. 사람들은 오히려 오현 스님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에서 가르침을 얻는다.
또 하나의 계율 논란이 있다. 지난해 당선된 총무원장이 탄핵을 받음에 따라 조계종은 또다시 선거 열풍에 휩싸여 있다. 전 총무원장과 관련된 논란 가운데 세간의 흥미를 불러일으킨 대목은 아무래도 ‘은처자(隱妻子) 의혹’이었을 것이다. 글자 그대로 숨겨 놓은 아내와 자식이 있다는 뜻이다.
필자는 불교계 계율 논란에는 관심이 없다. 아내와 자식이 있다고 실정법을 어긴 것도 아니다. 역설적으로 계율을 어겼다는 이유로 총무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날 만큼 조계종의 질서가 아직 살아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본질은 세상 사람의 삶과 관계가 없는 절 식탁의 밥그릇 다툼에는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오현 스님처럼 술을 마시고 대취하는 것도 계율에 어긋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은 그것이 중요한 문제라 여기지 않는다. 사람들이 불교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당연히 저들끼리 정해 놓은 계율 때문이 아니다.
스님과 대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대뜸 삶의 자세를 거론하며 가르치려 드는 분들이 적지 않다. 스스로를 다른 중생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기는 듯하다. 하지만 교단은 속세보다 더 속세 같으니 말 따로 행동 따로인 가르침은 설득력이 있을 리 없다. 좌탈입망이 측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석가가 입멸하는 순간을 표현한 것이 열반불(涅槃佛)이다. 오른쪽 옆구리를 대고 누워 있는 모습의 불상이다. 부처님은 이렇게 인간적인 모습으로 돌아가셨다. 그러니 부처님을 따른다면서 실제로는 따르지 않는 것이 좌탈입망이다. 물론 궁극의 수행경지를 드러내는 ‘진짜’ 좌탈입망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가공된 초월적 법력을 중생에게 과시해 우월을 강조하겠다는 취지라면 해탈의 경지와는 거리가 멀다.
흔히 죽음의 문제에 해답을 얻고자 하는 것이 종교의 목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죽음에 앞서 생존을 먼저 걱정해야 하는 시대다. 오현 스님은 ‘숲에서 사는 새의 먹이로 가야겠다’고 했지만, 내세(來世)가 아니라 이번 생애에 그런 상황에 처해 있다고 절망에 빠져 있는 젊은이가 적지 않다. 그러니 격론은 ‘은처자 의혹’이 아니라 ‘중생의 생존’을 놓고 벌였어야 하지 않았을까. 부처님 위에 올라서려 하지 말고 부처님 뜻만 따르면 된다.
서동철 서울신문STV 사장
얼마 전 돌아가신 오현 스님은 시조시인이기도 했는데, 필자가 서울신문에서 문화부 기자 생활을 하는 동안 신춘문예의 시조부문 심사를 맡기도 했다. 몇 년 전 마지막 전화통화를 했을 때 그는 매우 취한 목소리였는데, 그 때문이었는지 수화기 너머에서는 여느 때보다도 유쾌함이 느껴졌다는 기억이 있다. 하지만 술에 취해 껄껄거리는 중이라니….
오현 스님은 어느 해 ‘세계평화시인대회’에서 즉흥적으로 시조를 지어 낭송하기도 했다. ‘삶의 즐거움을 모르는 놈이 죽음의 즐거움을 알겠느냐/ 어차피 한 마리 기는 벌레가 아니더냐/ 이 다음 숲에서 사는 새의 먹이로 가야겠다.’ 중이 어떤 모습으로 눈을 감았는지가 왜 중요한지 모르겠다. 사람들은 오히려 오현 스님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에서 가르침을 얻는다.
또 하나의 계율 논란이 있다. 지난해 당선된 총무원장이 탄핵을 받음에 따라 조계종은 또다시 선거 열풍에 휩싸여 있다. 전 총무원장과 관련된 논란 가운데 세간의 흥미를 불러일으킨 대목은 아무래도 ‘은처자(隱妻子) 의혹’이었을 것이다. 글자 그대로 숨겨 놓은 아내와 자식이 있다는 뜻이다.
필자는 불교계 계율 논란에는 관심이 없다. 아내와 자식이 있다고 실정법을 어긴 것도 아니다. 역설적으로 계율을 어겼다는 이유로 총무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날 만큼 조계종의 질서가 아직 살아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본질은 세상 사람의 삶과 관계가 없는 절 식탁의 밥그릇 다툼에는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오현 스님처럼 술을 마시고 대취하는 것도 계율에 어긋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은 그것이 중요한 문제라 여기지 않는다. 사람들이 불교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당연히 저들끼리 정해 놓은 계율 때문이 아니다.
스님과 대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대뜸 삶의 자세를 거론하며 가르치려 드는 분들이 적지 않다. 스스로를 다른 중생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기는 듯하다. 하지만 교단은 속세보다 더 속세 같으니 말 따로 행동 따로인 가르침은 설득력이 있을 리 없다. 좌탈입망이 측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석가가 입멸하는 순간을 표현한 것이 열반불(涅槃佛)이다. 오른쪽 옆구리를 대고 누워 있는 모습의 불상이다. 부처님은 이렇게 인간적인 모습으로 돌아가셨다. 그러니 부처님을 따른다면서 실제로는 따르지 않는 것이 좌탈입망이다. 물론 궁극의 수행경지를 드러내는 ‘진짜’ 좌탈입망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가공된 초월적 법력을 중생에게 과시해 우월을 강조하겠다는 취지라면 해탈의 경지와는 거리가 멀다.
흔히 죽음의 문제에 해답을 얻고자 하는 것이 종교의 목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죽음에 앞서 생존을 먼저 걱정해야 하는 시대다. 오현 스님은 ‘숲에서 사는 새의 먹이로 가야겠다’고 했지만, 내세(來世)가 아니라 이번 생애에 그런 상황에 처해 있다고 절망에 빠져 있는 젊은이가 적지 않다. 그러니 격론은 ‘은처자 의혹’이 아니라 ‘중생의 생존’을 놓고 벌였어야 하지 않았을까. 부처님 위에 올라서려 하지 말고 부처님 뜻만 따르면 된다.
2018-09-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