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시험을 앞둔 이에게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시험을 앞둔 이에게

입력 2019-04-29 17:36
수정 2019-04-30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근 한 모임에서 있었던 일이다. 식사를 하며 빔 프로젝터로 다같이 영상을 보기로 했다. 그러나 모임 장소에 도착해 보니 식당은 스크린만 준비했을 뿐 프로젝터는 제공하지 않았다. 모임을 준비한 사람의 실수였지만 이미 시간은 다가오고 있었다. 일요일이라 대여가 가능할지 반신반의한 마음으로 해당 지역의 프로젝터 대여 업체를 검색했다.

몇 군데에 전화를 돌리고 사정을 설명한 끝에, 다행히 오늘 문을 열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집에서 사용하는 프로젝터를 빌려주겠다는 사람을 찾는데 성공했다. 그 집까지는 15분 거리였고 프로젝터를 빌려 와 모임을 잘 마칠 수 있었다. 그리고 몇 가지 교훈을 얻었다.

아이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종종 한다.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은 최상의 마음가짐일 때 하루 열 시간 정도 집중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어느 날 그는 미세한 기분의 차이를 느끼고 오늘 아주 조금의 여유를 가지자고, 곧 90% 정도의 마음가짐으로 임하자고 마음먹는다. 그리고 그는 그날 밤 여덟이나 아홉 시간이 아닌 두어 시간밖에 집중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주 작은 마음의 틈새가 결과적으로 매우 큰 차이를 만든다는 것이다.

처음 프로젝터가 없다는 말을 들었을 때, 먼저 든 생각은 아쉽지만 영상을 볼 수 없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말을 전달하면서 영상을 열심히 준비한 이의 아쉬운 눈빛을 보았고, 바로 그 순간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는 마음이 생겼다. 그리고 전화를 돌리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이효석 네오펙트 최고알고리즘책임자(CAO)
이효석 네오펙트 최고알고리즘책임자(CAO)
이런 순간적인 마음의 변화가 커다란 차이를 만들어 내는 일을 자주 경험한다. 이를 의지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안 되면 되게 하라’ 또는 ‘세상에 절대 안 되는 일은 없다’는 구호에도 이런 정신이 녹아 있다.

이런 정신은 어떻게 살 것인가와 같은 보다 보편적인 질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어떻게 살 것인가는 어떤 목표를 가질 것인가, 그리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의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질문은 전혀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인 어떤 목표를 가질 것인가는 개인의 가치관에 관한 질문으로 정답이 없는 주관적인 문제인 반면,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혹은 지금 이 순간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는 객관적 정답이 있는 질문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우리가 이 두 질문을 모두 고민해야 하며, 이것이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더 큰 질문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신이 가는 길이 맞는 길인지를 고민하며, 이러한 고민은 실제로도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잘 알듯이 첫 번째 질문에 대한 고민은 종종 두 번째 질문에 최선을 다하지 못하게 만들며, 어떤 이들은 자신이 두 번째 질문에 전력을 다하지 않는 핑계로 첫 번째 질문에 대한 고민을 들기도 한다. 그러나 첫 번째 질문에 대한 고민과 무관하게 두 번째 질문, 곧 매 순간 자신이 지금 하는 행동이 자신이 정한 목표에 부합하는가를 생각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그 모임에는 휴학을 하고 자격증 시험을 준비 중인 대학생이 있었다. 공부에 관해 조언을 구하는 그에게, 시험을 앞둔 사람은 인생에 몇 번 오지 않는 시기를 누리는 것이라고, 곧 이 길이 맞는 길인가 하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한 고민을 미뤄 두고 두 번째 질문만을 고민하면 충분한 그런 특별한 순간을 보내는 것이라 말해 주었다.
2019-04-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