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다.”
평범해 보이는 이 문장은 말을 한 사람이 크레타인이었다는 사실 때문에 논리학, 수학, 전산학 등 다양한 학문에 등장한다. 화자가 크레타인이므로 그가 하는 말은 거짓말이며 따라서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라는 말이 다시 거짓말이 되어 결론적으로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가 아니게 되는 끝없는 모순을 낳기 때문이다.
영국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은 이를 수학 문제로 바꿔 표현했다. 위 문장은 사실 ‘이 문장은 거짓이다’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러셀은 이런 모순이 바로 해당 문장들이 ‘스스로를 참조’하기 때문임을 보였다. 러셀이 든 예 중에는 ‘자신의 머리를 깎지 않는 사람의 머리만을 깎아 주는 이발사’가 있다. 이 이발사는 자신의 머리를 깎아야 할까, 깎지 않아야 할까.
이런 자기 참조는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한다.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등장하는 ‘재귀 함수’가 여기에 해당한다. 특정한 문제, 예를 들어 어떤 자연수에 대해 그 자연수보다 같거나 작은 모든 자연수들을 곱한 값을 의미하는 팩토리얼을 계산할 때 재귀는 이 과정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이다. 무언가를 가장 간단하게, 가장 적은 비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람들은 수정란이라는 세포 하나로부터 복잡한 생명체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층위의 자기 참조 과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자기 참조는 이야기의 액자 구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바깥 이야기 속에 내부 이야기가 존재하는 액자 구조는 이야기를 넘나드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자기 참조를 하게 된다.
인간은 오랫동안 누군가로부터 그가 다른 누군가에게서 들었던 이야기를 들어 왔기에 그 복잡성과 무관하게 이를 쉽게 이해하고 즐길 뿐 아니라 다시 자신의 관점에서 그 이야기를 해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자기 참조는 일상의 의사소통을 부드럽게 만드는 용도로도 쓰인다. 어떤 이야기를 직접 꺼내기 어려울 때 우리는 다른 누군가 그런 말을 했거나 들었다고 말하며, 또는 ‘만약에’라는 가정법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내가 이렇게 말한다면 당신은 이렇게 느끼겠지요’라는 추정에 상대 입장을 추가한 표현으로 마음의 준비를 시키기도 한다.
수사학에는 이를 좀더 발달시킨 방법이 있다. 무언가를 직접 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수사학은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바로 ‘아포파시스’와 ‘아포시오페시스’이다. 아포파시스란 말하지 않겠다고 말하면서 그 내용을 꺼내는 방법을, 아포시오페시스는 상대에게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연상하게 만들지만 정작 말을 멈춤으로써 화자가 말을 할 수 없다는 사실까지도 상기시키는 방법이다.
아포파시스의 가장 유명한 예는 미국 전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이 TV토론회에서 자신의 나이에 대한 공격을 멋지게 차단하고 시청자 모두를 즐겁게 만든 것이다. “나는 이번 선거운동에서 나이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것임을 밝힙니다. 상대방이 젊고 경험이 부족한 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자기 참조의 마법은 이런 식으로 일상의 대화에 쓰일 수 있고 사람들에게 재치가 있다는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인생에서 가장 곤란했던 때가 언제였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다른 사람을 곤란하게 만들었다고 생각될 때”라는 답은 구체적 시점을 이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남을 배려한다는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었느냐”는 질문에는 “이런 질문에 멋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얼마 전 누군가에게 “지금까지 접했던 문제 중 가장 어려운 문제가 무엇이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지금까지 수많은 어려운 문제들을 보았지만 그중 가장 어려운 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찾는 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 같다”는 대답을 했으면 어땠을까.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영국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은 이를 수학 문제로 바꿔 표현했다. 위 문장은 사실 ‘이 문장은 거짓이다’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러셀은 이런 모순이 바로 해당 문장들이 ‘스스로를 참조’하기 때문임을 보였다. 러셀이 든 예 중에는 ‘자신의 머리를 깎지 않는 사람의 머리만을 깎아 주는 이발사’가 있다. 이 이발사는 자신의 머리를 깎아야 할까, 깎지 않아야 할까.
이런 자기 참조는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한다.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등장하는 ‘재귀 함수’가 여기에 해당한다. 특정한 문제, 예를 들어 어떤 자연수에 대해 그 자연수보다 같거나 작은 모든 자연수들을 곱한 값을 의미하는 팩토리얼을 계산할 때 재귀는 이 과정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이다. 무언가를 가장 간단하게, 가장 적은 비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람들은 수정란이라는 세포 하나로부터 복잡한 생명체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층위의 자기 참조 과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인간은 오랫동안 누군가로부터 그가 다른 누군가에게서 들었던 이야기를 들어 왔기에 그 복잡성과 무관하게 이를 쉽게 이해하고 즐길 뿐 아니라 다시 자신의 관점에서 그 이야기를 해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자기 참조는 일상의 의사소통을 부드럽게 만드는 용도로도 쓰인다. 어떤 이야기를 직접 꺼내기 어려울 때 우리는 다른 누군가 그런 말을 했거나 들었다고 말하며, 또는 ‘만약에’라는 가정법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내가 이렇게 말한다면 당신은 이렇게 느끼겠지요’라는 추정에 상대 입장을 추가한 표현으로 마음의 준비를 시키기도 한다.
수사학에는 이를 좀더 발달시킨 방법이 있다. 무언가를 직접 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수사학은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를 제시한다. 바로 ‘아포파시스’와 ‘아포시오페시스’이다. 아포파시스란 말하지 않겠다고 말하면서 그 내용을 꺼내는 방법을, 아포시오페시스는 상대에게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연상하게 만들지만 정작 말을 멈춤으로써 화자가 말을 할 수 없다는 사실까지도 상기시키는 방법이다.
아포파시스의 가장 유명한 예는 미국 전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이 TV토론회에서 자신의 나이에 대한 공격을 멋지게 차단하고 시청자 모두를 즐겁게 만든 것이다. “나는 이번 선거운동에서 나이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것임을 밝힙니다. 상대방이 젊고 경험이 부족한 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자기 참조의 마법은 이런 식으로 일상의 대화에 쓰일 수 있고 사람들에게 재치가 있다는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인생에서 가장 곤란했던 때가 언제였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다른 사람을 곤란하게 만들었다고 생각될 때”라는 답은 구체적 시점을 이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남을 배려한다는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었느냐”는 질문에는 “이런 질문에 멋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얼마 전 누군가에게 “지금까지 접했던 문제 중 가장 어려운 문제가 무엇이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지금까지 수많은 어려운 문제들을 보았지만 그중 가장 어려운 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찾는 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 같다”는 대답을 했으면 어땠을까.
2018-05-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