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합리적 인간은 숫자에 민감하다/네오펙트 최고알고리즘책임자(CAO)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합리적 인간은 숫자에 민감하다/네오펙트 최고알고리즘책임자(CAO)

입력 2016-08-08 22:32
수정 2016-08-09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선택은 합리적 판단을 필요로 하며 합리적 판단은 정보에 의존한다. 정보는 사실과 숫자로 이루어지므로 인생에 등장하는 수많은 숫자들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합리적 판단의 시작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효석 네오펙트 최고알고리즘책임자(CAO)
이효석 네오펙트 최고알고리즘책임자(CAO)
선택은 대안을 비교하는 것이며, 비교는 기준을 필요로 한다. 오늘날 이 기준으로 가장 유용한 것 중 하나가 돈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하기 힘들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시간을 돈으로 바꾸기 위해 일상의 대부분을 투자하며 그 돈으로 필요한 것들을 구하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시간과 돈의 교환비율을 생각한다면 좀더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틀에 한 번꼴로 면도를 하고, 한 번에 3분 소요된다고 할 때 면도 시간을 아끼기 위해 제모수술을 고려한다면 어떤 판단을 할 수 있을까. 수술비용은 100만원 정도이며 수술을 받더라도 1~2년 뒤에 다시 자란다고 하자. 1년 반이면 800분 절약할 수 있다. 병원을 몇 차례 방문하는 시간까지 포함시켜야 하므로 시간 절약을 위해 제모수술을 받는다는 것은 합리적 선택이라 하기 어렵다.

실제로 나는 합리적 판단을 위해 아침 기상과 함께 습관적으로 모든 것을 숫자로 바꾸어 생각하곤 한다.

5만원쯤 하는 셔츠 하나를 평균 100번 정도 입는다고 하면 감가상각은 500원이다. 세 번 입을 때마다 세탁비 1000원을 써야 하므로 셔츠의 하루 비용은 800원이다. 바지도 셔츠와 비슷하며, 속옷과 양말을 더하면 하루 2000원쯤 될 것이다.

나는 스마트 워치를 사용하고 있다. 1년쯤 사용했고, 앞으로 2~3년은 더 쓰려고 한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하루 500원 정도 가치가 될 것이다. 구두도 그렇다. 몇 켤레를 번갈아 신고 있으니 켤레당 500번쯤 너끈히 신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꽤 좋은 구두도 하루 1000원 정도의 가격으로 신을 수 있다. 사실 이런 식으로 숫자에 민감하다면 물건에 대한 판단을 섬세하게 만들 수 있다. 10년 정도 쓴 지갑을 지난해 바꿨다. 10년 동안 매일 쓴다는 것을 생각하면 고급 지갑도 하루에 100~200원 정도의 가격이면 된다. 물론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
스마트폰은 구입비와 통신비를 포함하면 대략 2년 동안 26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 2년이 지나면 중고로 팔 수 있으니까 하루 3000원꼴이다. 다른 물건에 비해 비싸지만 함께하는 시간을 생각하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다. 이렇게 따지면 내가 하루 사용하는 모든 비용이 1만원이 채 되지 않는다. 출근에는 자가용을 이용하지만 감가상각이 0인 낡은 차다. 연료비는 한 달에 20만원 안팎이 들지만 보험 및 수리비를 합하면 하루에 1만원이 좀 넘을 것이다. 새 차로 바꾸면 감가상각만으로 하루에 1만원쯤이 추가된다. 자동차가 비싼 물건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순간이다. 누군가와 같은 시공간에 존재하기 위한 물리적 움직임인 이동은 그 자체가 비싼 것이다. 실제로 2014년 미국 전체 에너지 소모량 중 28%가 이동을 위해 사용됐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그렇지만 하루 식사 비용으로 1만~2만원 정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의(衣)보다는 식(食)이 비싸다. 식보다는 주(住)가 더 비싸다. 월세, 전세, 자가든 간에 한국인 가정은 집의 크기에 따라 하루 몇 만원씩을 집에 투입하고 있다. 사는 것 자체가 비용이다.

일이란 시간을 돈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당장 돈이 되는 일도 있고 미래에 돈이 될 수 있는 일도 있다. 흔히 후자는 자신에게 하는 투자라고 말한다. 물론 인생에서 돈과 시간이 전부는 아니다. 우리는 즐겁게 살기 위해 시간과 돈을 쓴다. 중요한 것은 상황에 따라 자신이 가진 것으로 원하는 다른 무언가를 좋은 비율로 구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2016-08-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