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의 유레카] 코로나19와 강의의 종말

[이은경의 유레카] 코로나19와 강의의 종말

입력 2020-04-06 22:16
수정 2020-04-07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6주 전 나는 이 지면에 전문가들의 조언을 따르면서 일상을 살아가자고 썼다. 확진자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곧 괜찮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 즈음 발표된 개학 2주 연기 소식도 그리 무겁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코로나19 대유행을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초중등학교는 이제 개학하지만 대학들은 3월 중에 개강하고 이미 2~3주 동안 비대면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대학 당국, 교수, 학생 모두 아무 준비 없이 시간을 건너 뛰어 미래로 온 것 같은 시간을 보냈다. 그래서 허둥댔다. 접속 불량, 첫 주부터 과제, 강의 콘텐츠 품질, 출석 확인,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채널 부재 등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당황스러운 문제가 불거졌다. 본의 아니게 4차 산업혁명 시대로 넘어왔다고 한탄하면서 문제가 생기면 임시방편으로 해결책을 찾았다. 그 과정에서 일부는 학교 대신 민간 기업 플랫폼으로 망명했고, 일부는 접속 폭주를 피해 심야에 업로드하고 수강했다. 조금만 참으면 ‘정상’으로 돌아갈 것이란 불안한 희망에 기댈 수밖에 없었다.

이번 주 코로나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비대면 방식을 연장한다는 통지를 받았다. 준비해야 할 것이 많아 마음이 급하다. 강의 내용은 물론 콘텐츠 제작의 기술적 요소도 보완해야 하고 과제나 토론, 발표 등 학생 활동 지도와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지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 몇 년 전부터 대학에서는 동영상 녹화 방식의 온라인 교육이 시도됐지만 그 비율은 매우 낮았다. 설비 부족, 카메라 울렁증, 동영상 제작에 드는 추가 시간과 노력 등 이유는 많았다. 정해진 시간에 강의실에 앉아 있어야 하는 것 외에 별다른 매력이 없었던지 학생들 요구도 크지 않았다. 멀게는 ‘정보화 사회’, 가깝게는 ‘4차 산업혁명’ 담론에서 말하던 미래 교육에 가까운 모습인데 왜 이 방식에 대한 수요가 없었을까?

그러다 깨달았다. 지금까지 비대면 교육은 교육 내용은 그대로 둔 채 그저 칠판을 동영상으로, 강의실을 사이버 공간으로 대체했을 뿐이었다. 그러니 아무 때나 접속해 업로드된 동영상을 시청하면 수강이 완성되는 학생들이 ‘출석 체크를 어떻게 하느냐’고 묻고 교수들은 시험을 못 보면 어떻게 해야 공정한 평가가 될지 고민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담론에서는 주입식 교육 대신 문제해결 능력과 융합적 사고 능력을 키우는 것이 강조됐다. 사이버 강의, 코딩 교육, 프로젝트 수행은 이를 위한 기술 수단이나 방법이다. 문제해결 능력이란 정답이 있는 연습문제 풀이 능력이 아니다.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현실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그래야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표준화된 교재의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가 필요하면 수준별로 표준화된 콘텐츠를 고품질로 만들어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교수는 학생들이 새로운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그에 필요한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 코치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이후 학교가 ‘정상’이 돼도 모든 것이 전과 같지는 않을 것이다. 강의실의 문제가 무엇인지 깨달았기 때문이다. 강의 콘텐츠를 녹음할 때 나를 괴롭혔던 목소리 톤과 어눌한 말투보다 더 필요한 것은 코치 역할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번 학기를 출발점으로 삼고 내 동료들과 함께 필요한 공부를 시작해야겠다.
2020-04-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