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를 맞는 느낌은 좀 다르다. 2020이라는 단순하고 균형미 있는 숫자 배열 때문일 것이다. 마침 2019년에는 5G 기술이 상용화돼 앞으로 올 초연결사회에 대한 사회의 기대가 풍성하다. 20년 전인 1999년과 비슷한 데가 있다.
1999년 말은 ‘뉴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와 전망으로 떠들썩했다. 그중 인터넷은 단연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였다. 특히 한국에서 1999년은 초고속인터넷 ADSL 서비스가 시작돼 누구나 빠른 인터넷을 쓸 수 있게 된 때였다. 인터넷이 몰고 올 사회변화, 유망직업, 유연한 재택근무, 닷컴 기업, 온라인 쇼핑, 전자행정, 1인 미디어, 익명성에 기반한 표현의 자유 등이 논의됐다.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그로부터 20년, 많은 기대가 실현됐다.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 덕분에 어떤 기대는 예상보다 훨씬 빨리, 훨씬 큰 규모로 실현됐다. ‘언제나 쉽게’ 가능할 것이라던 각종 온라인 서비스에 ‘어디서나’가 더해졌다. 아날로그형인 필자는 이렇게 자주 모바일 결제를 하고 이렇게 많은 택배 물품을 받게 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사회제도의 어떤 변화는 당시의 전망치에 이르지 못했다. 예를 들어 재택 근무나 온라인 강좌, 원격 진료 등이다. 이 영역들도 20년 전의 기대치만큼 진척됐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사회제도와 관련된 어떤 변화에는 기술 외에 무엇인가 다른 요소가 영향을 준다는 뜻이다. 이를 발전의 지체로 보고 제한 요인을 찾아 적극 제거할 것인지, 그냥 둘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회의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또 어떤 변화는 예상됐으나 별다른 대안이 나오지 않았다. 예를 들어 디지털 격차에 따른 소외 문제가 있다. 어르신들은 평생 하던 일, 예를 들어 기차표 예매, 은행 일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모바일은 어렵고 오프라인 서비스는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를 생각하면 보다 어르신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나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플랫폼 노동자의 급성장같이 예상보다 변화 폭이 큰 문제도 있다. 택배원과 라이더들은 모바일 기반으로 일한다. 그런데 이들은 고용된 임금노동자도 아니고, 자기 서비스에 대한 보상을 스스로 결정하는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도 아니다. 우리에게는 이런 형태의 노동에 적용할 정책과 제도가 아직 갖추어지지 않았다.
2020년 이후 20년은 2019년에 상용화된 5G나 앞으로 나타날 6G, 7G 기술에 기반한 초연결사회가 될 것이라고 한다. 지난 20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초연결사회에서 어떤 사회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 더 열심히, 창의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미래 사회에서 구조적인 이유로 약자가 되거나 뜻하지 않게 소외되는 사람들이 생길 가능성을 말해 줄 미래학자를 키워야 한다. 그리고 그의 말에 귀 기울여야 한다.
2020-01-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