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다.
9월까지 꼬리를 끌던 더위가 갔다. 맑고 산뜻한 가을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 추석에는 전국에서 보름달을 볼 수 있었다.
이미 50여년 전에 인간이 발을 내디뎠던 곳이지만 환하게 빛나는 달은 여전히 아름답고 궁금하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엄청난 돈을 내더라도 달에 가고 싶어 한다. 비록 연기됐지만 2017년에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는 2명의 달 관광을 승인받았다.
한국도 벌써 10년 가까이 달 탐사 계획을 진행 중이다. 얼마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월에 누리호 시험발사체를 발사한다고 밝혔다. 누리호는 탐사 궤도선과 탐사선을 달까지 보낼, 우리 기술로 개발 중인 발사체(로켓)이다. 누리라는 이름은 국민 공모로 얻었다. 이번에 발사되는 시험발사체는 누리호의 비행 성능을 점검하기 위한 모델이기 때문에 우주까지 날아가지는 않는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2020년에 달 탐사 궤도선을 발사하고 2030년에 탐사선을 달에 착륙시킨다.
이 소식 전에 우리나라의 달 탐사 계획은 언제 시작해서 어떻게 진행돼 왔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관련 보도는 그동안의 달 탐사 계획 변경과 그에 대한 평가 중심이다. 이 계획은 2007년 시작됐는데 그동안 달 탐사선 착륙 시기는 처음 2025년에서 2020년으로 앞당겨졌다가 다시 2030년으로 늦추어졌다. 계획 변경에는 과학적, 경제적, 정치적인 여러 이유가 있고 그에 대한 평가도 다양하다.
그러나 그것은 필자의 관심사항이 아니다. 여기서는 달 탐사 계획의 비전과 그에 대한 국민의 공감과 지지의 문제를 말하려 한다. 국책 사업인 달 탐사 계획은 기술 개발과 목표 달성이 전부가 아니다. 한국이 독자적인 달 탐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것이 우리의 삶과 과학기술 발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얘기해야 한다. 즉 달 탐사 스토리텔링을 만들고 그것을 국민들과 함께 나눠야 한다. 달 탐사로 얻게 될 달에 대한 정보 못지않게 그 과정에서 얻게 될 재료, 제어, 통신, 기계 등 넓은 영역의 기술 개발 성과도 중요하다.
1961년 미국 케네디 대통령은 달 탐사 계획을 발표했다. 인류 최초로 달에 가는 계획은 그 자체로 큰 도전이었다. 그는 이 도전이 미국의 기술과 에너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내놓고 말하지 않았지만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위성 발사에서 받은 충격에서 벗어나 미국 과학기술의 우위를 보여 주겠다는 뜻이었다. 그리고 미국 국민들은 이를 알아챘을 것이다. 단계별 시험 발사를 함께하면서 성공에 기뻐하고 실패에 아쉬워하면서 아폴로 11호의 성공을 기다렸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들에게는 달 탐사에 관한 스토리텔링은 고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도 별로 없다. 요즘 포털 검색창보다 더 많이 이용한다는 유튜브에서 ‘누리호 발사‘, ‘한국의 달 탐사’를 검색하면 10월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 뉴스 아니면 박근혜 정부의 대선 공약 관련 콘텐츠가 전부다. 2008년 열린 한 포럼에서 주요 우주 과학자들은 달 탐사 계획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국민적 동의”와 “확고한 국민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이미 말한 바 있다.
달 탐사 계획은 아직 10년 더 계속된다. 우리 모두의 달 탐사로 만들기 위해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머리를 모아야 할 때다.
9월까지 꼬리를 끌던 더위가 갔다. 맑고 산뜻한 가을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 추석에는 전국에서 보름달을 볼 수 있었다.
한국도 벌써 10년 가까이 달 탐사 계획을 진행 중이다. 얼마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월에 누리호 시험발사체를 발사한다고 밝혔다. 누리호는 탐사 궤도선과 탐사선을 달까지 보낼, 우리 기술로 개발 중인 발사체(로켓)이다. 누리라는 이름은 국민 공모로 얻었다. 이번에 발사되는 시험발사체는 누리호의 비행 성능을 점검하기 위한 모델이기 때문에 우주까지 날아가지는 않는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2020년에 달 탐사 궤도선을 발사하고 2030년에 탐사선을 달에 착륙시킨다.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그러나 그것은 필자의 관심사항이 아니다. 여기서는 달 탐사 계획의 비전과 그에 대한 국민의 공감과 지지의 문제를 말하려 한다. 국책 사업인 달 탐사 계획은 기술 개발과 목표 달성이 전부가 아니다. 한국이 독자적인 달 탐사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것이 우리의 삶과 과학기술 발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얘기해야 한다. 즉 달 탐사 스토리텔링을 만들고 그것을 국민들과 함께 나눠야 한다. 달 탐사로 얻게 될 달에 대한 정보 못지않게 그 과정에서 얻게 될 재료, 제어, 통신, 기계 등 넓은 영역의 기술 개발 성과도 중요하다.
1961년 미국 케네디 대통령은 달 탐사 계획을 발표했다. 인류 최초로 달에 가는 계획은 그 자체로 큰 도전이었다. 그는 이 도전이 미국의 기술과 에너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내놓고 말하지 않았지만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위성 발사에서 받은 충격에서 벗어나 미국 과학기술의 우위를 보여 주겠다는 뜻이었다. 그리고 미국 국민들은 이를 알아챘을 것이다. 단계별 시험 발사를 함께하면서 성공에 기뻐하고 실패에 아쉬워하면서 아폴로 11호의 성공을 기다렸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들에게는 달 탐사에 관한 스토리텔링은 고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도 별로 없다. 요즘 포털 검색창보다 더 많이 이용한다는 유튜브에서 ‘누리호 발사‘, ‘한국의 달 탐사’를 검색하면 10월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 뉴스 아니면 박근혜 정부의 대선 공약 관련 콘텐츠가 전부다. 2008년 열린 한 포럼에서 주요 우주 과학자들은 달 탐사 계획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국민적 동의”와 “확고한 국민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이미 말한 바 있다.
달 탐사 계획은 아직 10년 더 계속된다. 우리 모두의 달 탐사로 만들기 위해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머리를 모아야 할 때다.
2018-10-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