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의 유레카]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필요하다

[이은경의 유레카]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필요하다

입력 2016-10-03 23:04
수정 2016-10-04 0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제 명실상부한 가을이 되었다. 그렇지만 ‘가마솥더위’라고 했던 뜨거웠던 지난여름의 흔적은 아직도 여기저기 남아 있다. 그중 하나가 한 포기에 1만원 가까이 오른 배춧값이다. 배추 재배에 적절한 온도는 18~20도로 알려져 있다. 올해 여름에는 강원도 고랭지조차 이런 재배 적정 온도를 훌쩍 넘었기 때문에 배추가 잘 자라지 못했다고 한다. 배추가 ‘금추’가 되었다고 해서 우리네 밥상의 아이콘인 배추김치를 포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미지 확대
페츄니아 교배 지도하는 우장춘 박사.
페츄니아 교배 지도하는 우장춘 박사.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그런데 실제로 노란 속이 가득 차고 아삭한 포기배추로 김치를 담가 먹은 것은 50여년밖에 되지 않았다. 그 전에는 섬유질이 많고 잎이 길쭉하고 얇아서 힘없는 재래종 배추로 김치를 담갔다. 재래종 배추를 일본 배추, 중국 배추 등과 교배해 요즘 흔히 먹는 고소하고 아삭한 식감을 내는 포기배추로 개량한 것은 우장춘이었다.

우장춘과 그의 육종학 연구팀은 1950년대부터 우리나라 밥상에서 중요한 채소류의 품종개량과 종자생산을 체계적으로 수행했다. 먼저 국내에서 재배 중인 채소류와 품종개량에 활용할 수 있는 일본이나 중국 품종의 종자를 확보하고 이들의 광범위한 교잡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했다. 이를 기반으로 품종개량을 위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배추 외에도 양배추, 양파 등의 우량 품종을 개발하여 채소 산업과 종자 산업에 큰 도움을 주었다.

우장춘은 이름이 잘 알려진 몇 안 되는 한국 과학기술자 중 한 사람이다. 그의 육종학 연구는 과학 연구 성과와 농업발전에 기여한 공로, 두 측면에서 인정받을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장춘은 아직도 ‘씨 없는 수박’을 만든 사람이라는 잘못된 이미지에 갇혀 있다. 실제 씨 없는 수박을 만든 이는 일본 과학자였고 우장춘 자신이 개발자라고 말한 적이 없는데도 말이다.

그런데 이런 잘못된 이미지는 왜 생겨난 것일까?

우장춘이 육종학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신품종을 농민들에게 소개하고 신뢰하게 하는 과정에서 씨 없는 수박이 활용된 적이 있었는데 그로부터 오해가 생겨난 것이다. 1950~1960년대 대중에게 육종학은 낯설고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기술이었다. 반면 ‘씨 없는 수박’은 친숙하고 간결하면서도 새로 개발된 채소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그래서 씨 없는 수박, 육종학과 품종개량, 우장춘이라는 이미지 연결이 생겼을 것이다.

그런데 한번 만들어진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것은 쉽지 않다. ‘씨 없는 수박을 만든 과학자=우장춘’이라는 아이디어는 대중 매체는 물론 어린이들이 읽는 위인전에서 무한 반복됐다. 심지어 1970~1980년대에는 초·중등 과학 교과서에서도 계속 인용돼 왔다. 이를 바로잡은 것은 과학기술사에서 그와 관련된 각종 기록들과 과학 논문을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진 다음이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출판된 논문과 우장춘 별세 50주기인 2009년에 발간된 전기는 오류를 바로잡고 육종학자로서 그의 실제 모습을 밝혀냈다.

우장춘과 씨 없는 수박 에피소드는 과학기술자들의 연구 성과와 그 의미를 제대로 알리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 준다. 과학기술의 전문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이처럼 중요하지만 어렵다. 쉬운 언어와 이미지를 사용해 대중이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전달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오해와 과장의 소지가 있다. 이 둘 사이의 긴장과 간극을 알고 그것을 최대한 좁히는 것은 과학대중화 또는 대중의 과학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이다.

이런 일을 능숙하게 해 내는 사람들을 ‘과학 커뮤니케이터’라고 부른다. 이들은 다양한 매체와 과학 이벤트를 통해 과학기술자들과 그들의 성과를 대중에게 전달한다. 국가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과학기술이 일상에서 끼치는 영향이 날로 커지는 지금이다. 우리에게는 우장춘을 ‘씨 없는 수박의 아버지’에서 ‘김치의 은인’으로 제대로 자리매김해 줄 연구자들과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필요하다.
2016-10-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