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남북 지진 협력연구 나서야 할 때

[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남북 지진 협력연구 나서야 할 때

입력 2018-04-30 21:00
수정 2018-04-30 2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2011년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이 만들어 낸 강력한 지진파는 수백㎞ 떨어진 지역까지 강한 흔들림을 발생시켰다. 진앙지로부터 700㎞ 떨어진 오사카의 252m 높이 사키사마청사 전망대에서는 최대 1.5m에 이르는 건물 흔들림이 10여분 동안 이어지기도 했다.

고층 건물이 많고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 지역의 지진에 대비가 각별히 필요한 이유다. 1923년 규모 7.9의 간토 대지진으로 10만 5000여명의 인명 피해를 경험한 일본 정부로서는 고층 건물이 밀집해 있고 3300만여명이 생활하는 일본 수도권 지역에 언제 발행할지 모를 지진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2005년에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쿄 지하 4~26km 구간에 큰 단층이 있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일본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직하 지진으로부터 발생한 지진파 에너지가 지표에 큰 지진동을 유발해 지상에 있는 건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남북한 수도권 지역들 역시 높은 인구 밀도와 함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인프라가 집중돼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남겨진 1900여회에 이르는 지진 기록 중 남북한 수도권 지역에 다수의 지진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듯이 서울과 평양 일대는 역사적으로도 큰 지진이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1952년에는 평양 남서쪽 인접지역인 강서에서 규모 6.3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은 1900년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기록됐다. 1978년 기상청의 지진관측 이후부터 보더라도 평양 인근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지진은 평양에 인접한 황해북도 송림, 평산 일대와 평안남도 성천 일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평양에서 남쪽으로 30여㎞ 떨어진 안악과 사리원 지역에서도 1978년과 1982년에 각각 규모 4.6과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가장 최근에는 올해 1월 1일 규모 2.1 지진이 평산 지역에서 발생하기도 했다. 이렇듯 북한 수도권 지역에서는 규모 2.0 이상 지진이 매년 10~20회가량 발생하고 있다.

평양 인근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은 지질과도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지질학적으로는 평안분지에 해당하는 이 지역은 약 3억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 수백m 두께의 자갈과 모래로 구성된 퇴적층이 자리잡고 있어 크고 작은 지진이 빈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반면 서울은 ‘경기 육괴’라는 단단한 화강암질 지반 위에 있다. 지반이 안정하고 견고해 지진 발생 빈도가 높지 않고 지진 발생 재래 주기도 길다. 하지만 이 때문에 오랜 기간 응력이 누적됐다가 한꺼번에 터져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최근 기상청은 남한의 수도권 지하 지진 유발 단층을 조사하는 연구팀을 구성했다.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일으킨 단층을 확인하고 향후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4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수도권 하부 지역의 단층 유무와 분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미소 지진 탐지와 인공위성을 활용한 지표 변위 조사로 잠재적 단층 위치를 확인하고 정밀 물리 탐사를 병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지표에 드러난 활성 단층이 없는 상황에서 과거 지진을 유발한 단층을 찾는 일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이 바쁘게 살아가고 도심 소음이 높아 미소 지진 탐지가 용이하지 않은 만큼 정교한 분석이 요구된다.

남북한 국민들의 염원과 전 세계의 폭발적 관심 속에 지난주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다. 남북 정상회담으로 화해와 협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그와 함께 과학 분야의 남북 협력도 기대된다. 평양 인근 지역은 한반도에서 가장 지진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으로 큰 민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북한 수도권 일대의 지진 유발 단층 조사는 지진 재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자연재해 대비에 협력하고 과학적 교류도 확대되길 기대한다.
2018-05-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