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석굴암의 보호각 앞에는 통일신라시대 석등의 하대석(下臺石)이 있다. 석등의 기둥돌 이상 부재는 모두 사라지고 최하단의 연꽃무늬 기초만 남아 있다. 미술사학계는 이 석등을 8세기 것으로 추정한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 공사를 시작했다. 석등이 석굴암의 ‘그랜드 디자인’에 따른 조성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마디로 석굴암의 일부분이라는 뜻이다.
최근 석굴암을 찾은 강우방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은 큰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석등의 대좌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보호각 앞에 콘크리트로 우뚝하게 축대를 쌓은 넓은 공간이 눈에 띄었다. 그는 팔공산 갓바위처럼 많은 사람이 기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석굴암을 훼손한 것 아니냐며 분개했다.
어떻게 된 일인지 문화재청에 물어봤다. 석굴암은 지난해부터 보호각 보수 공사를 벌이고 있다. 이 공사를 위해 철골구조의 가설 덧집을 세웠고, 기초를 든든히 하고자 1m 두께의 콘크리트로 바닥을 다졌다. 이 과정에서 지표에 드러난 높이 28㎝, 지름 95㎝의 하대석을 보호한다며 우물 같은 공간을 남기고 콘크리트를 부었다. 여기에 뚜껑을 덮었으니 지금은 하대석을 볼 수 없다는 설명이었다.
가설덧집은 착공 당시부터 논란이었다. 법응 불교사회문화연구소장은 지난해 ‘석굴 전면을 뒤덮으며 떡 버티고 선 거대한 강철 구조물이 시야를 압도하는 대책 없는 풍경은 영락없는 어느 개발지의 아파트 공사 현장’이라면서 ‘강철구조물 기단이 시멘트로 되어 있는 것도 충격’이라고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그런데 가설덧집이 철거되고 콘크리트 기단만 남으면서 석등 문제가 표면화된 것이다.
문화재청은 공사가 끝나면 가설 구조물은 철거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엄청난 시멘트 덩이를 부수는 데는 고민도 적지 않은 듯했다. 오랜 세월을 견디며 약해진 석굴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진동이 없어야 하지만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가설덧집과 함께 철거하지 않은 것을 보면 시멘트 기단을 영구 기도 시설로 남기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더 많은 신도를 모아 수입을 늘리려는 시도는 석굴암 내부에서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석등이란 물리적으로 불을 밝히는 시설이 아니다. 어둠을 깨치는 부처의 가르침 그 자체를 상징한다. 석굴암은 이 공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안전성과 관련해 수많은 논란에 휩싸였다. 하지만 정작 눈앞에서 석굴암의 상징성이 훼손되고 있는 모습에 언론을 포함해 우리 모두 방관한 것은 아닌가 반성한다.
dcsuh@seoul.co.kr
서동철 논설위원
어떻게 된 일인지 문화재청에 물어봤다. 석굴암은 지난해부터 보호각 보수 공사를 벌이고 있다. 이 공사를 위해 철골구조의 가설 덧집을 세웠고, 기초를 든든히 하고자 1m 두께의 콘크리트로 바닥을 다졌다. 이 과정에서 지표에 드러난 높이 28㎝, 지름 95㎝의 하대석을 보호한다며 우물 같은 공간을 남기고 콘크리트를 부었다. 여기에 뚜껑을 덮었으니 지금은 하대석을 볼 수 없다는 설명이었다.
가설덧집은 착공 당시부터 논란이었다. 법응 불교사회문화연구소장은 지난해 ‘석굴 전면을 뒤덮으며 떡 버티고 선 거대한 강철 구조물이 시야를 압도하는 대책 없는 풍경은 영락없는 어느 개발지의 아파트 공사 현장’이라면서 ‘강철구조물 기단이 시멘트로 되어 있는 것도 충격’이라고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그런데 가설덧집이 철거되고 콘크리트 기단만 남으면서 석등 문제가 표면화된 것이다.
문화재청은 공사가 끝나면 가설 구조물은 철거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엄청난 시멘트 덩이를 부수는 데는 고민도 적지 않은 듯했다. 오랜 세월을 견디며 약해진 석굴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진동이 없어야 하지만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가설덧집과 함께 철거하지 않은 것을 보면 시멘트 기단을 영구 기도 시설로 남기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더 많은 신도를 모아 수입을 늘리려는 시도는 석굴암 내부에서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석등이란 물리적으로 불을 밝히는 시설이 아니다. 어둠을 깨치는 부처의 가르침 그 자체를 상징한다. 석굴암은 이 공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안전성과 관련해 수많은 논란에 휩싸였다. 하지만 정작 눈앞에서 석굴암의 상징성이 훼손되고 있는 모습에 언론을 포함해 우리 모두 방관한 것은 아닌가 반성한다.
dcsuh@seoul.co.kr
2014-12-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