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호 부국장 겸 사회부장
지구촌 안보를 주름잡는 미국·중국·일본·러시아에서부터 유엔·나토에 이르기까지 세계 주요 30여개국과 국제기구의 차관급 안보책임자 200여명이 집결하는 행사이다 보니 손이 가야 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닐 터. 그런 노력 덕분에 행사는 성공적으로 끝났다. 회의체를 만든 주최국으로서 사이버 안보 강화를 위한 국제적 공조 체제를 구축하는 등 성과도 적지 않았다. 차관급 양자 대화를 통해 방위산업 수출의 물꼬를 트는 소득도 거뒀다고 한다.
#2. “요즘 같아선 정말 옷을 벗고 싶습니다. 지금처럼 군복이 부끄러운 적이 없습니다.” 28년을 군에 몸담고 있는 L은 술잔을 내려놓으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자고 나면 터져 나오는 육·해·공군발 성추문과 구타 사고, 비리 소식에 신문 보기가 겁난다고 했다. “제발 언론이 살살 때려 주면 안 되겠느냐”고 읍소도 했다.
임 병장 총기 난사, 윤 일병 구타 사망, 사단장의 부사관 성추행, 석연치 않은 군 간부 인사 잡음, 여기에다 방위사업청을 중심으로 한 갖가지 방위산업 비리까지…. 창군 이래 이런 적이 있었을까 싶을 만큼 만신창이 중환자가 된 군은 지금 신음소리조차 잊은 듯하다. 대체 어디부터 손대야 할지 모를 난감함이 군 수뇌부의 표정에서부터 묻어난다.
#3. 외화내빈…. 밖으로 세계 9위의 군사력을 자랑하며 국제안보회의체의 중심으로까지 성장했지만, 안으론 무너진 기강으로 인해 ‘못 믿을 집단’이 된 게 군의 현주소다. 170여개 직업 중 신뢰도가 70위에 머물렀다는 조사 자료도 있는 걸 보면 군의 위상은 바닥에 다다른 듯하다. 음주추태 논란 속에 물러난 전직 1군사령관과 국방부의 진실 공방은 군 스스로 마지막 남은 제복의 명예까지 내던지려는 것처럼 비쳐져 위태롭다. 안보대화의 성과조차 당당히 내세우지 못하는 군색한 처지가 마냥 딱하다. 아무리 몸피를 늘린들 구각(舊殼)을 깨지 못하면 글로벌 강군은 요원하다. 군은 제복의 명예부터 다시 생각해야 한다.
jade@seoul.co.kr
2014-11-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