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환 논설위원
첫날 정상회담과 국빈만찬, 이튿날 서울대 강연과 특별오찬까지 숨돌릴 틈 없는 일정이 이어진 가운데 시 주석과 박 대통령은 시종 서로를 치켜세우며 덕담을 주고받았다. 특히 시 주석은 북핵 및 남북관계 등과 관련해 한반도에서의 핵개발 확고히 반대, 한반도 평화통일 지지 등 다소 진전된 입장을 밝혀 우리 측을 고무시켰다. 일본의 우경화와 관련해서도 여러 차례 한·중 공동대응을 강조해 우리 정부는 아니더라도 우리 국민들에게만큼은 ‘우군’ 인상을 심어주는 데에도 성공했다. 미국의 아시아 개입을 저지하기 위한 중국 고도의 전략적 계산이 깔려 있었다고 본다면 어느 정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으로도 보인다.
하지만 그의 친한적인 발언과 행보에도 불구하고 시 주석을 온전히 신뢰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시 주석은 불과 4년 전인 2010년 10월 25일 국가부주석 자격으로 참석한 항미원조(抗美援朝·한국전쟁의 중국명)전쟁 참전 60주년 좌담회에서 중국 군의 참전을 “침략에 맞선 정의로운 전쟁”이라고 규정하면서 북·중 혈맹관계를 강조한 바 있다. 그의 편향된 역사관, 친북 행보는 이후에도 계속됐다. 이번에 북한에 앞서 한국을 방문했다고 호들갑 떨었지만 2008년 중국공산당 서열 6위의 국가부주석에 선임된 뒤 그는 첫 해외방문 대상지로 북한을 선택했었다.
북·중관계가 많이 소원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시 주석이 주관하는 중앙외사영도소조에서 대북정책을 변경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진정 신뢰를 원한다면 시 주석은 한국전쟁에 대한 평가를 다시 내놓았어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방한에서 그가 판문점을 방문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한반도 분단에 책임 있는 일방으로서 분단의 현장을 직접 목도하고, 그곳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확고한 지지의사를 밝혔다면 우리는 온전히 그를 신뢰했을 것이다.
stinger@seoul.co.kr
2014-07-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