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논설위원
조선은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불교국가인 고려를 무너뜨렸다. 조선의 신흥사대부 집단이 전 정권의 이데올로기인 불교를 철저히 탄압한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극한까지 몰렸던 불교가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던 계기는 뜻밖에도 임진왜란이다. 전환점을 마련한 주역 가운데 한 사람이 바로 사명대사다. 그를 정신적 지주로 삼아 조직된 의승군(義僧軍)이 살생을 하지 말라는 계율을 어기고 다투어 창검을 잡은 것은 불교의 부활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우리나라에 신라시대 이후 이른바 호국불교의 전통이 있었다는 설명은 겉모습만 본 것이다.
의승군의 활동에 당시 불교계 내부에서 상당한 반발이 있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석장비에도 이런 분위기가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비문에 새겨진 “대사가 중생으로 하여금 혼돈의 세계인 차안(此岸)에서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으로 건네주는 일을 등한히 하고, 구구하게 나라를 위하는 일에만 급급했다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는 교산의 서술이 그것이다. 사명대사를 비롯한 의승군 주도세력의 고뇌는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겠다.
그런데 오늘날 이른바 구원파라 불리는 기독교 복음침례회의 상황은 묘한 기시감(旣視感)을 불러일으킨다. 조선왕조 출범 이후 극한으로 몰렸던 불교의 처지와 세월호 사건 이후 구원파의 처지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느낌이다. 물론 구체적인 양상에서 당시 불교와 오늘날의 복음침례회는 엄청난 차이가 있지만, 한 교단이 존폐의 위기마저 걱정해야 할 처지에 몰렸다는 상황 자체는 다르지 않다.
구원파에도 불교 방식의 해법을 권하고 싶다. 불교는 교리의 근간마저 포기하고 국가와 종단의 수호에 나섰다. 그 결과 국가 존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면서 종단 재정립의 전기를 만들었다. 구원파에도 사회적 상식에 부응하면서 그 결과 교단도 살리는 혜안을 가진 새로운 지도세력의 부상이 절실하다.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6-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