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논설위원
송현동 부지는 그저 비어 있는 집터가 아니다. 서울이 세계적인 문화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느냐를 가름할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중요한 땅이다. 그 남동쪽에는 인사동이 있다. 전통문화 중심지로 인사동이 갖고 있는 중요성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런 인사동의 폭발하는 문화 수요를 물리적으로 감당하지 못해 대안으로 떠오른 공간이 삼청동 아닌가. 삼청동은 지난 10년 사이 인사동과는 다른 현대적 문화 양상을 과시하며 새로운 문화중심으로 떠올랐다. 송현동은 인사동과 삼청동을 잇는 문화적 연결 고리에 해당하지만 호텔이 지어지면 소통은 단절될 수밖에 없다.
문화 자체는 겉으로나마 순수성을 과시하며 상업성과 일정한 거리를 두려는 속성을 갖지만, 문화 공간은 지극히 상업적 마인드에 좌지우지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인사동이 문화지구로 지정되고, 내외 관광객이 몰려들기 시작하면서 부동산 가치는 하늘 높은 줄 모르게 뛰어올랐다. 인사동의 대안이었던 삼청동마저 인사동 뺨치는 임대료를 부르기 시작하자, 부동산 열기는 이미 경복궁을 넘어 인왕산 아랫동네를 점령한 것이 사실이다. 홍대 앞 문화 역시 한강에 가로막혀 더 이상 갈 곳이 없다는 목소리가 나올 만큼 확산 열기는 상상을 초월한다.
문화적 트렌드를 읽는 부동산 개발과 투자는 이미 상식이다. 미국에서는 한 부동산 회사가 세계 미술의 중심지로 일찌감치 떠오른 뉴욕 맨해튼의 건물값과 임대료가 뛰어오르자 한적한 브루클린 덤보(Dumbo)의 공장단지를 개발해 새로운 현대미술의 메카로 만든 사례가 있다. 이 회사는 문화 발전에 기여한 것은 물론 1억 달러를 투자해 100억 달러를 벌었다는 투자 성공의 전설도 남겼다. 우리나라에서도 아직 소비성 문화에 머물고 있다는 한계는 있지만, 고양 일산신도시의 ‘라 페스타’ 같은 문화적 부동산 개발의 성공 사례가 있고, 이런 방식의 개발은 갈수록 늘어나는 양상이다.
대한항공도 문화 발전과 수익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문화적 부동산 개발을 검토해야 한다. 인사동-송현동-삼청동을 아우르는 대한민국 대표문화의 산파가 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대한항공의 자본과 감각이면 ‘7성급 문화 중심지’를 너끈히 만들어 낼 수 있다.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2-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