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논설위원
국보 제83호 삼산관반가사유상의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전시를 놓고 한창 논란이 빚어지고 있을 때 여러 사람에게서 받았던 질문이다. 상당 기간 문화재 담당기자를 했다니까, 뭔가 뚜렷한 주관에 그럴듯한 논리라도 갖고 있는 줄 알았나 보다.
“가면 가서 좋고, 안 가면 안 가서 좋은 거지 뭐. 메트로폴리탄에서 전시하면 우리 문화의 정수를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고, 보내지 않으면 사유상의 안전을 걱정하지 않아서 좋은 것 아냐?”
이렇게 대답했으니 대부분 “무소신의 극치”라며 실망했을 것이다.
어쨌든 미국 전시가 확정된 반가사유상은 곧 뉴욕행 비행기를 타게 된다. 반출에 찬성했던 사람들은 지금쯤 승리감에 도취되어 있을지 모르고, 반대했던 사람들은 어쩌면 ‘복수의 칼’을 갈면서 반격의 기회를 노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사유상의 반출을 둘러싼 찬반 논란은 그만큼 한바탕의 난리굿이었다.
사유상 논란을 두고 국정 난맥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것이라고 성토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상 반출 계획에 문화재청이 제동을 건 꼴이니, 그런 요소는 분명히 있다. 결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중재안을 문화재청이 받아들여 반출을 최종 허가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적어도 내부의 사전 조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간 큰 기관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 걸음 떨어져 바라보면 완전히 다른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국제적 시각에서 사유상 반출 논란의 본질은, 자국의 문화 수준을 세계에 과시하고 싶어 하는 국가 조직과 대체 불가능한 국가적 문화 자산을 최대한 보호하려는 국가 조직의 지극히 건강한 견해 차이일 것이다. 오히려 문화선진국 국민일수록 한 점의 문화재 때문에 국가기관 사이에 충돌이 빚어지고, 여론이 들끓는 한국의 높아진 문화 수준을 눈을 비비고 다시 보지 않을까. 이렇게 보면 사유상 논란은, 다시 한번 무소신을 드러내는 꼴일지는 모르나, 아무도 진 사람이 없는 우리 모두의 ‘윈윈게임’이었다.
다만, 그런 ‘국제적 시각’에서 바라봐 줄 사람이 없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사유상 반출의 수혜자인 미국에서조차 메트로폴리탄 전시회가 이렇듯 어렵게 성사됐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정부의 국가홍보 기능이 해결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 관심을 끌 만한 이슈에 의미를 부여해 현지 언론에 노출시키는 해외홍보는 한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국제사회에 심어주는 중요한 기능이다. 특히 반가사유상의 경우, 이렇게 형성된 긍정적 인식이 국내로 유턴했을 때 감정의 앙금이 여전히 짙게 깔린 우리 사회의 사유상 갈등도 상당 부분 치유할 수 있지 않을까. 아직도 늦지 않았다.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8-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