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신화의 힘, 경계 넘어서기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신화의 힘, 경계 넘어서기

입력 2019-07-01 17:52
수정 2019-07-02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한반도의 북쪽 만주에는 다싱안링(大興安嶺)이라는 산맥이 있다. 남북으로 무려 1200킬로미터에 달하는 긴 산맥이기에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민족이 그곳에 기대어 살아왔다. 퉁구스 계통에 속하는 에벤키나 오로첸 역시 그런 민족들이다. 지금은 이미 산 아래로 내려와 정주하고 있지만, 그들은 오랜 세월 다싱안링산맥 일대에서 수렵을 하며 살아왔다.

숲에서 사냥을 할 때 만나게 되는 동물 중 가장 무서운 것이 호랑이와 곰이었기에 그들의 신화에는 호랑이와 곰이 자주 등장한다. 자애로운 산신의 곁에는 언제나 호랑이가 등장하고, 때로 산신은 호랑이로 변하기도 한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의 조상이 곰이라는 신화도 전한다. 특히 오로첸족의 곰 신화는 한민족의 시조신화와도 연관되는 지점이 있어 흥미롭다.

한 청년이 산에서 사냥하다가 길을 잃고 쓰러졌는데, 암곰이 그 청년을 데리고 동굴로 들어갔다. 곰은 정성껏 청년을 돌보았고, 마침내 정신을 차린 청년은 암곰의 정성에 감동하여 곰과 혼인해 동굴에서 함께 살아갔다. 암곰은 새끼도 한 마리 낳았다.

그러던 어느 날 청년은 자신이 떠나온 마을이 그리워졌다. 암곰이 새끼를 데리고 먹을 것을 찾으러 나간 사이에 청년은 동굴을 떠났고, 청년이 사라진 것을 알아챈 암곰은 강가로 달려갔다. 뗏목을 타고 강을 건너는 청년을 발견하고 돌아오라고 외쳤지만, 청년은 무심하게 제 갈 길을 갔다.

그러자 암곰은 새끼를 반으로 나눠 반쪽을 청년에게 던지고 나머지 반쪽은 자기가 데리고 숲으로 돌아갔다. 그때 청년이 데리고 간 반쪽은 오로첸족이 됐고, 어미가 데리고 간 반쪽은 곰이 됐다고 하니, 곰과 인간 사이에 명실상부한 ‘토템’ 관계가 형성된다.

지금 우리의 시선으로 보면 이 이야기는 이상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이상하기로 치면 우리의 웅녀신화도 그리 다를 바 없다. 곰이 사람이 되고, 사람으로 변한 곰이 천신의 아들과 혼인한다는 이야기는 구조만 좀 다를 뿐 오로첸족의 신화와 별로 다르지 않다. 하지만 같은 맥락에 있는 이 이상한 이야기들을 신화적 시각에서 살펴보면 그 어떤 신화보다 더 신화적 사유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남성과 암곰이 혼인한다는 오로첸족의 이야기는 천신의 아들과 혼인한 웅녀 이야기보다 더 원형을 간직한 이야기일 가능성이 크다. 인간의 여자로 변신하는 과정을 거치긴 했지만, 웅녀의 원형은 ‘암곰’이고, 천신의 아들이라는 신성한 신분을 부여받기는 했지만 어쨌든 그는 ‘남성’이다. 인간과 동물의 혼인이라는 오래된 신화적 모티브를 간직한 이 신화들의 바탕에는 인간과 자연계 모든 것들의 생명의 가치는 같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만주 지역에서 살아갔던 수렵 민족에게 숲은 생명의 공간이었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곰의 생명의 가치는 인간과 다를 바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곰 사냥을 해서 곰 고기를 먹을 때에도 미안한 마음을 갖고 먹었으며, 곰의 뼈를 모아 그들의 영혼을 돌려보내 주는 의례를 거행했다. 곰과 인간의 생명의 가치가 같다는 인식에서 나온 것이 곰과 인간의 혼인 이야기다.

암곰과 청년이 나누어 가진 새끼의 반쪽이 각각 오로첸족과 곰이 됐다는 이 신화는 곰과 인간이 형제라고 말한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대칭성 인식을 하던 사람들의 생각을 보여 준다. 그들의 세계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경계가 없다. 곰과 인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그 순간 ‘오로첸’이라는 새로운 민족이 탄생한다. 경계를 넘어서는 사유, 그것이 신화적 사유의 바탕이다.

DMZ에서 만난 세 명의 지도자가 ‘선’(線)을 넘어서는 것을 보며 다시 든 생각이다. 경계를 넘어서야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신화의 세계에서도, 인간의 세계에서도 그렇다.
2019-07-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