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첫눈, 여신이 오려낸 눈꽃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첫눈, 여신이 오려낸 눈꽃

입력 2018-11-26 17:46
수정 2018-11-26 17: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반도 북쪽에 위치한 만주 지역은 겨울이 길고 추운 곳이다. 헤이룽장성의 가장 북쪽에 있는 도시 모허(漠河)의 기온이 곧 영하 30도 가까이 떨어진다니,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겨울은 그들에게 검고 어두운 바람을 몰아치게 하는 신이 강림한 것으로 여겨졌을 듯하다. 그래서 그곳에 거주하는 만주족은 빛의 여신 압카허허를 비롯한 300여명의 여신이 세상을 눈과 얼음으로 뒤덮으려는 어둠의 신 예루리와 기나긴 투쟁을 하는 신화를 전한다.
이미지 확대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몽골에서부터 중앙아시아까지 널리 퍼져 있는 영웅 서사의 남성 주인공들이 하늘에서 내려온 빛의 천신의 후손들이라면, 만주에서는 그 역할을 여신들이 하는 셈이다. 물에서 태어난 천신 압카허허는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주머니에 별자리를 가득 채우고 다니는 여신 워러두허허, 모든 것을 품고 있는 대지의 여신 바나무허허를 자기 몸에서 탄생시킨다.

영리하면서 교활한 어둠의 신 예루리는 천하무적의 힘을 갖고 있다. 예루리는 원래 압카허허가 만든 ‘오친’이라는 여신이었는데, 남성 신으로 바뀌면서 어둠의 힘을 대표하게 된다. 오친은 잠을 많이 자는 대지의 여신 바나무허허를 감시하기 위해 만들어졌기에 머리가 아홉 개에 팔이 여덟 개였다. 머리가 아홉 개나 되니 지략도 뛰어나 그의 신력이 세 여신을 능가할 정도였다.

그런 오친의 성별이 바뀌는데, 잠을 깨운다고 화가 난 바나무허허가 산처럼 큰 두 개의 돌을 던지는 바람에 그것에 맞아 머리에는 거대한 뿔이, 아랫도리에는 남성의 생식기가 생긴 것이다. 자신의 몸에 양성을 모두 지니고 있기에 스스로 번식하는 예루리는 절대 사라지지 않는 끈질긴 어둠의 세력을 의미한다.

불사의 존재 예루리는 우주를 장악하려고 끊임없이 압카허허를 공격했다. 하지만 300명의 여신은 모두가 압카허허의 훌륭한 조력자들이다. 압카허허가 두꺼운 얼음장 밑에 갇혔을 때엔 큰 부리를 가진 오리가 얼음에 수많은 구멍을 뚫어 사라진 태양 빛을 찾아온다. 압카허허가 하늘보다 높은 설산에 눌려 있을 땐 불의 여신이 뜨거운 ‘불돌’을 먹여 구해 주고, 바람의 여신 시스린은 바위를 날려 예루리를 지하로 도망치게 한다.

투무는 머리카락이 온통 불꽃으로 이루어진 여신인데, 자신의 불꽃 머리카락을 뽑아 세상을 밝혀 예루리를 쫓아낸다. 불꽃 머리카락을 모두 내어주고 하얀 돌이 된 투무는 다른 별에 매달려 흔들리면서 자신에게 남은 작은 불빛으로 대지와 만물을 비춰 주는 ‘하늘등불’이 된다. 작은 불빛이 깜박거리며 흔들리는 모습이 마치 그네를 타는 것 같아 사람들은 그 별을 ‘처쿠마마’(그네여신)라 불렀다. 그 여신을 기억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작나무로 높은 기둥을 세우고 동물의 머리뼈를 매단 후 거기에 멧돼지 기름 등을 넣어 불을 밝혀 ‘하늘등불’이라 했다.

한편 고슴도치여신은 자신의 몸에 돋아 있는 바늘들을 빛의 화살로 변화시킨다. 여신이 하얀 작약으로 변신해 빛을 내뿜으니 예루리가 신기하게 여겨 꽃을 따려고 몸을 굽혔다. 그 순간 여신은 수많은 빛 화살을 날려 예루리를 퇴치했다. 그래서 만주족 사람들은 하얀 작약을 비롯한 꽃들에 사악한 것을 쫓는 힘이 있다고 믿는다. 여성들은 머리에 꽃을 꽂았고, 종이로 꽃을 오려 창문에 붙였으며, 얼음으로 꽃을 조각하기도 했다. 하얀 눈꽃 역시 압카허허가 오려서 만든 것이라고 생각해 귀히 여긴다. 이 모든 것은 후손들을 위한 여신들, 즉 ‘마마’신들의 선물이다.

며칠 전 이른 아침에 선물처럼 첫눈이 내렸다. 이미 녹아 버리긴 했지만, 거리를 하얗게 밝혀 주었던 첫눈의 눈꽃들이 빛의 여신 압카허허의 눈꽃처럼 한 해의 마무리를 앞두고 헉헉거리는 우리 모두에게 빛처럼 환한 일들을 다가오게 하는 힘이 돼 주면 좋겠다.
2018-11-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