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개구리가 인간에게 ‘말’할 수 있게 해준 뜻은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개구리가 인간에게 ‘말’할 수 있게 해준 뜻은

입력 2018-06-11 17:56
수정 2018-06-12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아시아 신화 속에서 개구리는 참 많은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중국의 서북부 지역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때의 토기에도 개구리 문양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일찍부터 개구리는 사람들의 일상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특히 중국의 가장 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좡족(壯族) 사람들의 신화 속에서 개구리는 사람들이 농사를 지을 때 꼭 필요한 비를 내려 주는 영험한 힘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벼 이모작을 하는 그들에게 비가 적절하게 내리는 것은 농사의 성패를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었는데, 개구리는 비를 관장하는 천둥신의 딸 혹은 아들로 여겨졌다. 그러니 사람들은 개구리를 소중하게 여길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이 개구리에게 잘해 주면 개구리들이 천둥신에게 “인간들이 참 착해요, 비를 충분히 내려 주세요”라고 부탁했다고 하니, 개구리의 울음소리는 천둥신에게 보내는 개구리의 음성 메시지였던 셈이다. 그래서 그들의 신화에는 논의 개구리를 몽땅 잡아먹어 버리는 바람에 몇 년 동안 병충해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이야기, 개구리 울음소리가 시끄럽다고 뜨거운 물을 뿌렸다가 개구리가 몽땅 사라져 버리는 통에 흉년이 들어 고통당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저 작은 생명처럼 보이지만, 사실 개구리는 우리의 환경이 얼마나 깨끗한지를 가늠하게 해 주는 소중한 존재다. 개구리가 가지고 있는 생태적 의미를 잘 보여 주는 것이 바로 좡족 사람들의 신화인 것이다.

중국의 서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이족(?族)의 신화 속에서 개구리는 농사와 관련된 존재일 뿐 아니라 인간의 지혜와도 관련된 존재로 묘사된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달리 언어를 소유하게 된 것이 바로 개구리 덕분이라는 것이다. 물론 모든 동물이 다 자신들만의 언어로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신화적 사유이지만, 지식의 전통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족 사람들의 사유 체계에서 언어는 인간만이 지닌 특출한 능력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그들의 신화에는 인간이 언어를 갖게 된 내력을 이렇게 설명했다.

아득한 옛날 모든 동물들은 인간처럼 말을 할 줄 알았다. 그런데 천신은 자연계의 모든 것들이 말을 할 줄 안다는 사실이 기분 나빴다. “말을 한다”는 것은 지식과 지혜의 발전을 가져올 것이니, 그들이 신들을 능가하는 능력을 갖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그들의 언어를 모조리 빼앗기로 결정하고, ‘지혜의 샘물’을 줄 터이니 모두 모이라고 했다. 신이 지혜를 내려 준다니, 이렇게 기쁜 일이 있나! 모든 살아 있는 존재들이 지혜의 샘물을 마시려고 앞다투어 달려갔다. 개구리는 열심히 폴짝폴짝 뛰었지만, 그들처럼 빨리 뛸 수가 없어 맨 뒤에서 천천히 가고 있었다.

늦게 소식을 전해 들은 인간이 헐레벌떡 쫓아가면서 보니, 개구리 한 마리가 천천히 걸어가고 있는 것이었다. 그 모습이 애처로워 보여 인간은 개구리를 냉큼 품에 안고 달려갔다. 모두가 돌아보지 않고 그냥 지나가 버리는데, 선량한 마음씨를 가진 인간만이 자신을 데리고 와 주었다는 사실에 개구리는 감동했다.

그래서 개구리는 그 샘물이 언어를 잃어버리게 만드는 샘물이라는 사실을 인간에게만 살짝 알려 주었다. 원래 개구리는 샘물의 비밀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다른 동물들은 모두 그 물을 마셔 언어를 잃게 됐지만, 인간만은 샘물을 마시지 않아 언어를 갖게 됐다고 한다. 인간이 언어를 잃어버리지 않게 된 것은 물론 영험한 개구리 덕분이었지만, 선량한 마음씨도 한몫했던 것이다.

선거를 코앞에 두고 많은 후보가 수많은 ‘말’들을 쏟아내고 있다. 인간에게 언어를 남겨 준 개구리의 뜻이 세상을 더욱 지혜롭고 선량한 사람들로 가득하게 만들려는 것에 있었음을 한 번쯤 헤아려 보고 투표장에 갈 일이다.
2018-06-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