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희령의 다초점 렌즈] 종말의 상상

[부희령의 다초점 렌즈] 종말의 상상

입력 2020-01-28 17:38
수정 2020-01-29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부희령 소설가
부희령 소설가
겨울이 시작될 무렵, 밤늦은 시각에 제2자유로를 달리고 있었다. 운전하면서 이따금 서쪽 하늘을 바라보았는데, 농익은 파파야를 길게 잘라놓은 듯한 달이 눈에 띄었다. 도로는 텅 비어 있었고, 멀리 덤불 숲과 낮은 건물들 위로 불그스름한 빛이 감도는 달이 낮게 떠 있던 것. 아름답고 불길하구나, 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달이 갑자기 시야에서 사라졌다. 지평선 아래로 내려갈 고도는 아니었고 주위에 구름도 없었다. 조금 있다가 달은 일그러진 모습으로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수도권 하늘을 검은 그림자처럼 감싸고 있는 오염된 대기 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문득 가까운 미래의 어느 시점으로 떠밀려가, 종말의 날, 지구 위에서 볼 수 있는 달의 마지막 모습을 목격한 기분이었다.

설날 다음날 동네 공원을 산책했다. 햇빛의 질감 속에서 봄이 느껴졌다. 함박눈을 구경할 수 없던 겨울, 머릿속까지 얼어붙는 엄혹한 섣달그믐의 추위를 경험할 수 없던 겨울, 제주도에는 며칠 내내 폭우가 쏟아지던 미지근한 겨울이 물러가고 있었다. 공원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올라가 내가 거주하는 신도시를 둘러보았다. 하늘은 청명했으나, 거무스름한 그림자 같은 공기층이 여전히 불길하게 지평선을 내리누르고 있었다.

며칠 전 오랜만에 옛 친구들과 만나 밥을 먹었다. 최근에 딸을 결혼시킨 친구 하나가 손주를 빨리 보고 싶다고 했을 때, 나도 모르게 고개를 저었다. “앞으로 세상이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데, 아기를?” “그게 무슨 말이야?” 되돌아온 물음에 대기오염, 해수면 상승,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신종 바이러스, 빈곤, 난민, 전쟁 같은 단어들을 장황하게 늘어놓았다. “과학자들이 알아서 해결할 거야. 그럴수록 다음 세대를 낳아야 희망이 있는 거지. 아기가 얼마나 사랑스러운데!” 친구의 항변에 마음속으로만 중얼거렸다. 아기의 작고 무기력한 몸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는 어른보다 몇 배 더 고통스러울지도 모르는데. 지금 여기서 누리고 있는 풍요와 편리는 미래 세대의 삶에서 빼앗은 것이라는 진실을 떠올리면, 희망과 사랑이라는 말은 가혹한 단어일 수도 있는데. 내가 너무 비관적인 걸까.

고열이 나면 해열제로 체온을 떨어뜨려야 살 수 있듯이, 2100년까지 지구의 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방어해야 인류는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한다. 그 마지막 기회의 시간은 앞으로 10년에서 길어야 20년 사이, 2020년대뿐이라고 한다. 물론 지구는 멸망하거나 사라지지 않는다. 인간에게 쾌적하지 않고 인간에게 아름답지 않고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 지구, 창백한 푸른 점으로 빛나지 않는 지구로 변할 뿐이다. 멸망하는 것은 화려한 문명과 엄청난 쓰레기를 생산했던 인류, 유전자 정보를 밝혀내 한 세대 안에서 스스로 진화를 이룰 수 있으리라던 인류, 만물의 영장으로 자부하면서 지구상의 다른 생명체와 스스로를 탐욕의 제물로 밀어 넣었던 인류뿐이다. 그리하여 사라지는 것은 마주 보며 웃을 수 있고,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손을 뻗어 포옹할 수 있던 우리의 다정한 몸들뿐.

2020-01-29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