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작은 6개월의 장기 휴가로부터였다.
꽉 채운 이십 년을 한 일터에서 근무했던 여자가 늦은 결혼을 한 후 일의 성과가 주는 즐거움 외에 또 다른 삶의 즐거움이 있다는 걸 만끽하며 지내던 어느 날, 남자가 슬슬 바람을 집어넣는다. 이십 년을 한 우물 파며 달려 왔으니 이제는 쉬엄쉬엄 가자고.
그랬다. 여자의 지난 이십 년은 대다수 젊은이들이 그렇듯 치열하고 긴박한, 말 그대로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살아온 세월이었다. 엄마의 젖가슴을 벗어나 기초적인 사회생활인 유치원 시절부터의 이십 년과 본격적인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후의 이십 년을 그래프로 비교해 볼 때, 어린아이가 소녀로 자라 숙녀로 성장하기까지 우여곡절을 겪으며 수직 상승과 하향 곡선을 오르내리는 시간을 보냈다면 젊은 시절의 이십 년은 주어진 자리를 잘 지키기 위해 하루하루를 처절하게 반복하며 소소한 물결 같은 수평선을 그리며 숨 가쁘게 달려온 시간들이었다.
잠깐 쉬어 가자는 남자의 바람 같은 부추김은 결국 여자의 마음을 풍선처럼 부풀게 했고 결국 6개월의 장기 휴가를 얻어 훌훌 여행길에 올랐다.
경쟁에 처지지 않기 위한 내면의 치열함은 있었지만 반복된 출퇴근으로 특별나지 않은 일상을 따라가던 안정적인 시간을 벗어나 매일이 모험이요 도전인 스펙터클한 여행지에서의 몇 주를 보내며 여자는 시간에 대한 새로운 체험을 한다. 여행을 떠나온 지 불과 몇 주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마치 몇 달이 지난 것 같은 판타지 같은 느낌이랄까.
곡선이 잦고 진폭이 컸던 어린 시절 이십 년의 인생 그래프가 단순하고 반복적인 삶으로 잔잔한 수평선을 그렸던 젊은 시절의 그래프에 비해 똑같은 시간을 지나왔지만 지나온 곡선들을 한 줄로 펼쳐 보면 어린 시절의 그래프 길이가 더 길 수밖에 없는 것처럼 여행이라는 경험이 여자의 인생에 새로운 진폭이 잦은 곡선으로 파동 치며 다가온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점 시간이 빠르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린 시절의 기억은 누구든 다양하고도 새로운 경험으로 가득차 있다. 희로애락과 더불어 수많은 체험과 기억들이 인생의 중요한 찰나가 돼 시간들을 다채롭게 채워 넣는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웬만한 경험들은 일상으로 변화돼 기억할 만한 것도 없이 무의미한 시간으로 압축돼 버린다. 이러한 현상이 심리학에서 말하는 시간 압축 효과다.
고대인들은 시간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기계적으로 흘러가는 물리적인 시간인 ‘크로노스’와 각각의 삶의 의미와 가치가 결합된 주관적인 시간인 ‘카이로스’로 구분한다. 크로노스의 시간은 일정한 속도로 흘러가고 한 번 가면 돌아오지 않으며 저장할 수도 없지만, 카이로스의 시간은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고무줄처럼 늘이거나 편집도 가능하다.
여행지에서 여자와 남자는 약속한다. 결혼 시기가 남들보다 10년에서 20년 정도 늦었지만 새로운 경험과 기억을 많이 공유할 수 있는 크로노스적 시간과 찰나들을 더 많이 만들어 1년을 살아도 10년을 산 것처럼 살자고. 그것이 여행일 수도 있고, 꼭 공간적으로 멀리 떠나지 않아도 어차피 인생 자체가 여행이니 매일을 여행지에서 보내듯이 신비와 설렘으로 사는 것이 시간을 늘리며 사는 방법이 아닐까.
그 후로 둘은 일상의 시간이 압축되는 것처럼 느껴질 때쯤 서로가 서로에게 바람을 넣어 새로운 경험을 위한 여행을 부추긴다.
아, 그런데 이미 십여 년 전부터 짠내 풀풀 나는 여행을 기획한 남자의 의도는 절대 경비절감 때문은 아니고 여자에게 진정 다양한 경험을 선물하기 위함이었겠지? 또 결혼 후 1년에 1㎏씩 꾸준히 더해져 빵빵해진 여자의 몸매는 비단 여행을 부추긴 남자의 바람 탓만은 아닐 거다.
배민아 한신대 외래교수
그랬다. 여자의 지난 이십 년은 대다수 젊은이들이 그렇듯 치열하고 긴박한, 말 그대로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살아온 세월이었다. 엄마의 젖가슴을 벗어나 기초적인 사회생활인 유치원 시절부터의 이십 년과 본격적인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후의 이십 년을 그래프로 비교해 볼 때, 어린아이가 소녀로 자라 숙녀로 성장하기까지 우여곡절을 겪으며 수직 상승과 하향 곡선을 오르내리는 시간을 보냈다면 젊은 시절의 이십 년은 주어진 자리를 잘 지키기 위해 하루하루를 처절하게 반복하며 소소한 물결 같은 수평선을 그리며 숨 가쁘게 달려온 시간들이었다.
잠깐 쉬어 가자는 남자의 바람 같은 부추김은 결국 여자의 마음을 풍선처럼 부풀게 했고 결국 6개월의 장기 휴가를 얻어 훌훌 여행길에 올랐다.
경쟁에 처지지 않기 위한 내면의 치열함은 있었지만 반복된 출퇴근으로 특별나지 않은 일상을 따라가던 안정적인 시간을 벗어나 매일이 모험이요 도전인 스펙터클한 여행지에서의 몇 주를 보내며 여자는 시간에 대한 새로운 체험을 한다. 여행을 떠나온 지 불과 몇 주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마치 몇 달이 지난 것 같은 판타지 같은 느낌이랄까.
곡선이 잦고 진폭이 컸던 어린 시절 이십 년의 인생 그래프가 단순하고 반복적인 삶으로 잔잔한 수평선을 그렸던 젊은 시절의 그래프에 비해 똑같은 시간을 지나왔지만 지나온 곡선들을 한 줄로 펼쳐 보면 어린 시절의 그래프 길이가 더 길 수밖에 없는 것처럼 여행이라는 경험이 여자의 인생에 새로운 진폭이 잦은 곡선으로 파동 치며 다가온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점 시간이 빠르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린 시절의 기억은 누구든 다양하고도 새로운 경험으로 가득차 있다. 희로애락과 더불어 수많은 체험과 기억들이 인생의 중요한 찰나가 돼 시간들을 다채롭게 채워 넣는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웬만한 경험들은 일상으로 변화돼 기억할 만한 것도 없이 무의미한 시간으로 압축돼 버린다. 이러한 현상이 심리학에서 말하는 시간 압축 효과다.
고대인들은 시간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기계적으로 흘러가는 물리적인 시간인 ‘크로노스’와 각각의 삶의 의미와 가치가 결합된 주관적인 시간인 ‘카이로스’로 구분한다. 크로노스의 시간은 일정한 속도로 흘러가고 한 번 가면 돌아오지 않으며 저장할 수도 없지만, 카이로스의 시간은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고무줄처럼 늘이거나 편집도 가능하다.
여행지에서 여자와 남자는 약속한다. 결혼 시기가 남들보다 10년에서 20년 정도 늦었지만 새로운 경험과 기억을 많이 공유할 수 있는 크로노스적 시간과 찰나들을 더 많이 만들어 1년을 살아도 10년을 산 것처럼 살자고. 그것이 여행일 수도 있고, 꼭 공간적으로 멀리 떠나지 않아도 어차피 인생 자체가 여행이니 매일을 여행지에서 보내듯이 신비와 설렘으로 사는 것이 시간을 늘리며 사는 방법이 아닐까.
그 후로 둘은 일상의 시간이 압축되는 것처럼 느껴질 때쯤 서로가 서로에게 바람을 넣어 새로운 경험을 위한 여행을 부추긴다.
아, 그런데 이미 십여 년 전부터 짠내 풀풀 나는 여행을 기획한 남자의 의도는 절대 경비절감 때문은 아니고 여자에게 진정 다양한 경험을 선물하기 위함이었겠지? 또 결혼 후 1년에 1㎏씩 꾸준히 더해져 빵빵해진 여자의 몸매는 비단 여행을 부추긴 남자의 바람 탓만은 아닐 거다.
2018-09-1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