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웅의 공정사회] 멈춤의 미학

[문현웅의 공정사회] 멈춤의 미학

입력 2021-03-24 17:08
수정 2021-03-25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현웅 변호사
문현웅 변호사
자동차 전문가에게 ‘어떤 차가 좋은 차인가’라는 우문을 던진 적이 있다. 무수한 자동차가 차의 주행 성능에 초점을 맞춰 광고를 하는 것과 같이 차에 대한 일반의 관심사도 마찬가지여서 주행 성능이 좋은 차는 이런 차라는 답변을 내심 기대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돌아오는 답변은 매우 뜻밖이었다. “차의 생명은 주행 성능이라고 다들 이야기하시는데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잘 달리는 차도 잘 멈추지 않으면 쓸모없는 차예요.”

새 차로 바꾸고 가족들과 나들이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이었다. 어둠이 내려앉은 도로에 비까지 내려 조금 위험했으나 들뜬 마음에 약간 방심하던 찰나 앞차가 갑자기 급정거했다. 순간 가장 빠른 발놀림으로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차가 바로 멈추질 않는다. 사고가 나겠구나 하는 생각에 심장이 오그라들었으나 충돌 직전에 다행히 차가 멈추어 주었다.

그러고 보니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교통사고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었던 비결은 충돌 위험에 닥쳐 자동차가 잘 멈추어 주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자동차는 주행 성능도 중요하지만 오히려 멈춰야 할 때 제대로 잘 멈추는 것이 더 중요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요즘 들어 부쩍 더 하게 된다.

인생살이도 마찬가지 아닐까? 수많은 욕심을 다 부리며 사는 우리네 인생살이에서 그 욕심을 멈춰야 할 때 제대로 잘 멈추는 것이 잘사는 비법 중 최고의 비법이 아닐까 싶다. 만약 멈춰야 할 때 제대로 멈추지 않으면 멈추지 않은 욕심이 불러온 화에 된통 당한다는 것을 우리는 아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욕심을 멈춘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이렇게 자신의 욕망을 합리화하며 멈춤의 시점을 지연시키다 어느새 욕망이 자신을 집어삼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요즘 떠들썩한 공직자들의 부동산 투기도 그렇게 해서 벌어진 일일 것이다.

처음엔 탈법이라 생각해 머뭇거리는 마음도 있었을 게다. 그러나 어느새 욕심에 눈이 멀어 무엇이 옳고 그른지 분간이 되지 않는 늪에 빠지게 되고 결국에는 내가 잘못한 것이 도대체 무엇이냐며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인다. 욕심을 멈추지 못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를 망가뜨리는 전형적인 장면이 아닐 수 없다.

돌이켜 보면 인생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멈추는 것보다는 달리는 것에 초점을 맞춰 살아왔다. 내가 ‘어디까지 달릴 수 있을까? 언제까지 달릴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인생의 주된 관심사였다. 그렇게 달리다 이렇게 멈추지 않고 달리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일까 하는 물음이 문득 든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며 언제 멈춰야 할지 나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년 이후 자신이 왜 달리는지 하는 물음을 아직도 던지지 못했거나 멈춰야지, 멈춰야지 하면서 아직도 멈추지 못했다면 그런 인생은 실패한 인생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자신의 욕망을 통제하지 못하면 타인뿐 아니라 자신의 삶도 무너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공직자 부동산 투기와 비슷한 시점에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화된 장면이 있다. 어떤 공직자가 임기 전에 사퇴하면서 기자들을 모아 놓고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친 장면 말이다.

대통령이 임명한 공직자가 대통령의 뜻을 거슬러 자신 맘대로 공직을 수행할 수 있는 사회를 자유민주주의 사회라 말하지 않으면 무슨 사회라 말할 수 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을 입에 자주 올렸던 한 나라의 검찰 수장이라는 자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며 공직을 헌신짝처럼 내던지는 모습에 공분을 빙자한 사욕의 분출이라 표현한다면 너무나 지나친 표현일까?

사적 이해관계에 따라 최측근을 챙기면서 처음엔 이래도 되는 것일까 하는 생각도 했을 것이라 믿고 싶다. 그런 믿음조차 없다면 한때나마 그에게 걸었던 기대가 너무 초라해져 비참해지기 때문이다. 처음엔 머뭇거렸으나 계속 가다 보니 어느새 스스로 파 놓은 늪에 빠져 옳은 것이 무엇인지 애써 외면하며 달리게 된다. 멈춰야지, 멈춰야지 하는 생각조차 이제는 들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멈춰야 할 때를 아는 자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2021-03-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