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웅 변호사
처음 엄마를 향한 시선이 점차 가족으로 그리고 가족의 물적·정서적 공간으로 향하기 시작하면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에 어울리게 외부로 향한 시선은 그 범위를 끊임없이 확장합니다.
그리고 나이를 먹어 가며 애초 온통 외부로 쏠렸던 시선이 내부로도 향하게 됩니다. ‘나는 누구일까?’, ‘삶과 죽음은 도대체 무엇일까?’라는 고민이 시작되면서 사춘기의 심한 열병을 앓게 되지요.
열병을 앓으며 자신에 대한 탐구가 시작됐다고 해서 외부로 쏠렸던 시선의 무게중심이 내부로 이동하는 것은 아직 아닌 것 같습니다. 달콤하리라 여겨지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갈망은 여전히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니까요.
물론 이 시기를 거치면서 자신의 인생을 종교적 수행에 전념하기로 결단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외부로 향했던 자신의 시선을 내부로 거두어들이는 인생의 결정적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그러나 인생을 종교적 수행에 전념하기로 결단했다고 해서 시선의 무게중심이 내부로 완전히 이동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성직자나 수도자들의 성장 과정을 보면 질적으로 많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나이를 먹어 가며 보이는 사람들의 어떤 특징적인 모습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인들과 대동소이한 모습을 보이니까요. 결국 내부로 향한 끊임없는 시선의 이동만이 종교적 수행에 대한 결단을 담보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외부로 향했던 시선이 내부로 향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알 수 없는 순수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의 사춘기 시절을 순수했던 인생의 시간으로 기억하는 것과 같이 외부로 쏠렸던 시선을 내부로 돌리면서 인생의 참된 가치에 대한 탐구도 시작되기 마련입니다.
그렇게 시선을 점차 내부로 거두어들이면서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인생은 ‘성숙’의 단계로 진입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직 달콤한 무엇이 외부에 있을 것이라는 미련 때문에 시선의 무게중심은 여전히 외부에 머무르며 그렇게 젊은 시절을 거쳐 어느덧 중년의 나이로 접어들게 됩니다.
중년의 나이로 접어들면 난생처음으로 자신의 시선을 내부로 돌렸던 인생의 그 시절이 다시 찾아옵니다. 외부로 향했던 시선이 덧없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것이지요. 외부로 향했던 덧없는 시선을 이제는 진지하게 내부로 거두어들이면서 정말 잘 늙는 것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도래합니다.
사춘기 시절을 잘 겪고 지나야 인생의 나침반이 제대로 작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선이 다시 내부로 향하게 되는 중년의 시기를 잘 보내야 추한 인생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날 수 있습니다. 아니 추한 인생에서 벗어난다는 표현보다는 인생의 참된 가치를 찾아 좌충우돌했던 그 몸부림을 아름다운 노년의 시기로 보상받게 된다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인생의 파도를 온몸으로 맞서며 여기저기 상처투성이만 남았지만 달콤한 그 무엇이 있을 것이라 여기며 마냥 외부로만 향했던 미련의 시선을 거두어들이기 시작하면서 인생의 상처들이 훈장으로 빛나게 되는 시기가 또 중년 아닌가 싶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외부로 향한 시선을 완전히 거두어들여야 한다는 말은 물론 아닙니다. 좌충우돌하면서 인생의 풍파를 온몸으로 맞섰던 그 시절로 인하여 시선의 무게중심을 내부로 이동한다 하더라도 인생의 지혜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시기가 중년이기에 외부로 향한 시선을 내부로 천천히 거두어들여도 큰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
중년이 돼서도 성숙이 아닌 성공에 온통 마음이 가 있는 것처럼 시선의 무게중심이 아직도 외부에 쏠려 있다면 덧없는 인생의 시간을 연장하는 것 말고 그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대로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외부로 쏠렸던 시선의 무게중심을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아닐지 생각해 보는 요즘입니다.
2020-08-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