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웅의 공정사회] 진정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문현웅의 공정사회] 진정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입력 2020-07-01 18:08
수정 2020-07-02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현웅 변호사
문현웅 변호사
가톨릭 신자인 제 양심을 늘 찌르는 성경 말씀 중 하나는 이것입니다. “사실 여러분을 사랑하는 사람들만 사랑한다면 여러분이 무슨 보수를 받겠습니까? 세관원들도 그렇게 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여러분이 형제들에게만 인사한다면 여러분이 무슨 넘치는 일을 한단 말입니까? 이방인들도 그만큼은 하지 않습니까?”(마태 5, 46-47. 200주년 신양성서주해, 분도출판사)

이 성경 말씀을 접하며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올려 봅니다. 그들의 공통점은 그들도 저를 좋아하거나 사랑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저는 예수의 가르침인 사랑을 실천한다고 떠벌리면서도 정작 저를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사람들만 사랑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 믿는다는 사람조차 별반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잘 알고 계시는 그분은 자신을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누구나 다 하는 일이라고, 심지어 죄인들까지도 그렇게는 한다고, 사랑의 실천은 그것을 뛰어넘어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그러니까 결국 자신을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을 마찬가지로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것은 예수가 말하는 진정한 사랑의 실천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고, 자신에게 상처를 준 사람, 미운 사람, 용서할 수 없는 사람 등 좋아하거나 사랑하기 참으로 힘든 사람을 사랑해야만이 예수의 가르침을 실천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상처를 준 사람, 미운 사람,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이 말은 쉽지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아니 바다가 육지로 바뀌는 일은 있어도 상처를 준 사람, 미운 사람,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은 죽었다 깨나도 힘든 일임을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번민하며 기도하는 중에 어느 날 갑자기 미운 사람 얼굴이 하나 떠올랐습니다. 그 사람 얼굴과 함께 그 사람이 준 상처까지 떠올라 기도는 집중되지 않고 분심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쌍욕이 입에서 맴도는 것을 간신히 참으며 기도를 마쳤는데 그 다음날 기도하는 중에 그 미운 사람이 또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어느새 그 미운 사람을 위해 기도하는 저를 우연히 발견하게 됩니다.

그 미운 사람을 위해 기도했다고 해서 그 사람을 용서했다거나, 그 사람을 좋아하기 시작했다거나 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그 미운 사람을 위해서 기도를 하다 보니 마음 한구석에 그 사람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떠오르며 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이해의 단초가 그 사람을 진심으로 이해하기 시작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인지,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이 앞으로도 변함없이 이어질 수 있을 것인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어떻든 미운 사람을 이해하기 시작했다는 사실 자체가 너무도 놀라운 일로 다가왔습니다.

최근 남북 관계가 매우 험악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험악한 분위기가 무력 충돌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한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 남북 정상회담을 최근거리에서 보좌하고, 평창올림픽에 참석해 평화의 제스처를 보여 주었던 김여정의 입에서 연일 터져 나오는 독설은 국민의 인내심을 바닥까지 내팽개치게 합니다.

코로나19로 모든 영역의 위험 신호가 불을 뿜는 상황에서 남북 관계까지 점점 빨간색으로 치닫고 있으니 아무리 한겨레, 한민족이라 하더라도 어쩌면 저럴 수 있을까 하는 미움의 감정이 서서히 고개를 듭니다.

그러나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대화와 협력이 원만히 이루어질 때 평화를 위한 노력이 그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와 협력이 무산되고 일촉즉발의 위기가 감도는 그때에 평화를 위한 노력이 그 빛을 발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자신을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사랑한다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인 반면 자신에게 쌍욕을 해대면서 상처를 주는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은 정말로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해라는 단어는 그럴 때 사용하라고 있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이해하려는 노력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2020-07-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