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웅의 공정사회] 세월호 참사 그리고 ‘조국 대전’

[문현웅의 공정사회] 세월호 참사 그리고 ‘조국 대전’

입력 2019-09-25 17:44
수정 2019-09-26 02: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현웅 변호사
문현웅 변호사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과정에서 벌어진 한바탕 난리가 끝을 모르는 아수라장으로 이어지면서 세월호 참사를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 뭔 자다가 봉창 두들기는 소리냐고 핀잔을 준다면 ‘나는 그랬다’ 외에 별 뾰족한 답변을 찾지 못하겠다.

세월호 참사 직후부터 몇 달 동안 나는 심한 우울증에 시달렸다. 사람도 만나지 않았고 그 좋아하는 술도 입에 대지 않았다. 꽃 같은 아이들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서 나 자신이 자유로울 수 없다는 죄책감 때문이었다.

어른으로 살아온 세월 동안 그러니까 돈을 벌며 가정을 꾸리고 사는 동안 가정의 생계를 책임진다는 그 알량한 도피처에 숨어 저지른 수많은 잘못이 나의 가슴에 못을 박기 시작했다. 관행이라는 버스에 승차해 죄의식 없이 저지른 그 잘못들이 날카로운 못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사실 세월호 참사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그놈의 ‘관행’이었다. 사고 나기 전까지는 그냥 눈감는, 탐욕 때문에 눈이 멀게 되는 그놈의 관행 말이다.

그날 출항을 준비했던 세월호가 관련 법규에서 지키라고 하는 규정들만 제대로 지켰다면 그런 참사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구조의 책임을 진 국가가 자신이 지켜야 할 의무를 제대로만 이행했다면 그렇게 많은 소중한 우리 아이들을 잃지는 않았을 것이다. 탐욕에 눈이 멀어 관행이라는 변명을 쏟아낸 작자들은 어른들이었고 그놈의 관행은 아이들의 죽음으로 되돌아오고야 말았다. 어른들의 잘못으로 아이들을 죽인 것이다.

참사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묻기 전에 어른인 나 자신부터 되돌아보았다. 그리고 그동안의 잘못에 대한 반성과 함께 다시는 탐욕에 눈이 멀어 스스로 관행을 쉽게 용납하는 우를 범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그것만이 아이들 죽음에 대한 죗값을 조금이라도 갚을 수 있는 유일한 속죄의 길이라 여겼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참사에 대한 책임을 외부로 돌리면 돌릴수록 나는 다시 관행이라는 버스에 손을 흔들고 그 버스에 냉큼 올라 안락한 의자에 앉아 눈을 감는다. 아이들 죽음에 대한 자기반성은 이제 희미해진 옛 추억이 되었고 참사 이전으로 다시 돌아가 하루하루를 별일 없이 잘살고 있다.

조국 대전이 한창일 때 서울로 출장을 가 지하철을 이용한 적이 있었다. 용케 빈자리를 발견하고 의자에 기대 눈을 감고 다소 먼 목적지를 향하고 있었는데 모 대학 역에 정차한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았고 나는 여전히 눈을 감고 있다가 잠시 눈을 떠 주위를 살펴보고는 깜짝 놀랐다. 내 딸자식과 같은 아이들이 주위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데 ‘아, 내가 이 아이들의 아버지구나’ 하는 생각이 번뜩 들어 정신이 아찔했던 것이다.

어른인 나는, 이 아이들의 아버지인 나는 그동안 어떤 삶을 살아왔던가. 내 새끼 건사하는 것 말고 그들이 살아갈 세상에 대해 과연 일말의 책임의식이라도 가지고 있었던가? 세월호 아이들의 죽음에 대한 죄의식으로부터 성공적으로 탈출해 다시 관행의 버스에 몸을 실은 나는 도대체 뭐하자는 인간인가. 정의네 평화네 공정이네 인권이네 생명이네 터진 입이라고 번드르르한 말만 잘도 쏟아내는 나란 작자란 말이다.

아무도 반성하지 않는다. 이 세상을 이 모양 이 꼴로 만든 당사자들인 어른들은 반성은커녕 뭐 묻은 개가 뭐 묻은 개 나무란다고 서로 삿대질하며 마치 나는 절대로 아니라는 듯이 두꺼운 가면을 쓰고 세상을 기만한다. 소위 말하는 사회지도층이라는 작자들로부터 시작해서 촛불시민들까지도. 그런 어른들의 위선 때문에 우리 아이들은 ‘헬조선’이라고 불리는 이 나라에서 고통에 신음 중이다. 늘 그렇듯 우리들 위선의 책임은 결국 우리가 아닌 우리 아이들이 감당할 몫이 되어 버린다.

눈 한 송이의 무게는 콧바람에 날릴 정도로 가볍지만 쌓인 눈 더미에 그 눈 한 송이가 더해지면 나뭇가지가 부러지고야 만다. 지금 우리 어른들은 자신의 위선이 더해지고 더해져도 사회가 아직 무너지지 않고 버티는 것에 안도할 것이 아니라 그토록 가볍게 여긴 위선 하나가 언젠가는 이 사회를 무너뜨리고야 말 것이라는 사실을 두려워해야 한다. 우리 아이들을 구조할 책임은 바로 우리 어른들에게 있다.
2019-09-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