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이탈·고령화…증권업계 ‘사면초가’

투자자 이탈·고령화…증권업계 ‘사면초가’

입력 2013-07-22 00:00
수정 2013-07-22 14: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대외 여건 악화에 국내경제 저성장 우려 확산투자자 고령화에 투자인구마저 7년만에 감소

주식투자인구가 7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주식 투자자가 고령화하고 있는 증권업계로선 설상가상의 형국이다.

글로벌 경기회복이 기대만큼의 속도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한국 경제의 저성장 우려가 주식투자 인구 감소를 불러온 것으로 보인다.

악재가 겹친만큼 당분간 업황 개선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 주식투자 인구 7년만에 감소세 전환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 국내 주식투자 인구는 전년도 말보다 5.1% 줄어든 502만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감소는 2005년 이후 처음이다.

국내 주식투자 인구는 2005년 354만명, 2006년 361만명, 2007년 444만명, 2008년 463만명, 2009년 467만명, 2010년 4천79만명, 2011년 528만명 등으로 매년 증가해 왔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이미 예견됐던 결과라는 반응이다.

2011년만 해도 평균 6조8천631억원에 이르렀던 유가증권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2년 4조8천236억원으로 29.7% 급감했고, 올해 상반기에도 4조1천180억원 수준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2011년 말 유럽발 재정위기의 충격이 이어졌고, 미국의 양적완화(QE3) 조치도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중국 경기성장도 둔화하는 등 대외 경제 여건이 악화하면서 투자자들이 증시를 외면한 결과다.

해외 경제 흐름에 민감한 국내 경제의 저성장이 고착화할 것이란 우려가 작용한 것이다.

특히 개인투자자의 이탈이 두드러졌다.

주식투자 인구 중 개인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말 현재 총 인구의 9.9%, 경제활동 인구의 19.7%로 전년보다 각각 0.7%포인트, 1.5%포인트 낮아졌다.

개인투자자의 다수를 차지하는 1천만원 미만 소액보유자가 전체 투자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1년 말 62.5%에서 2012년말 60.4%로 소폭 줄었고, 보유 시가총액 비중도 1.4%에서 1.1%로 하락했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의 시가총액 비중은 각각 32.4%와 15.8%로 전년 말보다 1.8%포인트, 2.8%포인트 각각 커졌다.

◇ 증시 고령화 심각…50·60대만 늘고 나머진 줄어

최근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또 다른 특징은 주식 투자인구의 고령화다.

이날 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의 평균 연령은 작년 말 기준 48.6세로 전년(47.4세)보다 1.2세 높아졌다.

신규유입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투자자 평균 연령은 매년 1년씩 높아져야 한다. 따라서 이보다 높은 상승폭이 나오려면 신규유입 인구의 연령이 평균보다 높거나, 이탈하는 인구의 연령이 평균보다 낮아야 한다.

현재 상황은 후자에 속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 연령대별 주식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작년 말 현재 60세 이상 주주는 104만5천명으로 전년(92만6천명)보다 12.9%나 증가했다. 55∼59세 주주도 53만9천명에서 55만6천명으로 3.2% 늘었다.

반면 54세 이하 연령대는 모두 주주 수가 줄었다. 특히 20대 후반과 30대의 감소 폭이 13.8∼17.3%로 가장 컸다.

이에 따라 60대 이상과 50대 투자자의 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말 17.7%와 24.2%에서 작년 말 21.1%와 24.8%로 높아졌지만, 40대 이하는 모두 비중이 감소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도 60대 이상이 보유한 주식의 가치와 비중이 92조5천억원(33.3%)에서 106조4천억원(35.6%)으로 증가해 가장 컸고, 50대 보유주식의 가치와 비중도 소폭 증가했다.

이렇게 젊은 층이 줄어드는 현상은 시장의 신진대사와 세대교체가 둔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증권가에선 60대 이상 고령층의 주식소유 비중이 2011년 33.3%에서 2020년 42%, 2025년 48%로 빠르게 증가해 2030년이 되면 50%를 넘어서고 2060년에는 69%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실적부진 증권업계 ‘사면초가’

이런 현상에 직격탄을 맞은 것은 증권업계다.

치열한 수수료 인하 경쟁에도 불구하고 주식투자 인구 자체가 줄어든 데다 ‘증시 고령화’는 매매빈도 하락과 종목 직접투자 감소로 이어져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해졌다.

증권사들의 어려움은 실적 추정치에서도 드러난다.

금융투자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실적 추정치가 3개 이상 존재하는 증권사 6곳 중 키움증권을 제외한 나머지 5곳 전부의 1분기(3∼6월) 연결기준 순이익이 전분기보다 최대 32.4%까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적이 지속적으로 악화하면서 주가도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당시 수준까지 내려왔고 특별한 반등 기미도 없는 상황이다.

이에 업계 최상위권의 일부 대형 증권사들도 접대비와 광고비 등을 삭감하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최근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이 수수료율 인하 압박을 강화한 점도 증권업에는 악재다.

국민연금은 올해 하반기 증권사들의 주식거래 중개(브로커리지) 입찰제안서에서 ‘최저수수료율 제한’ 항목을 없앴다.

국민연금은 지금껏 증권사에 대한 최저수수료율을 여타 위탁운용사(약 0.10%)보다 높은 0.15%로 책정해 왔다.

이에 따라 하반기부터는 대체로 0.10%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의 수수료율이 적용될 것으로 업계는 파악하고 있다.

국민연금으로부터의 수수료 수입이 많게는 30%까지도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최저수수료율 제한이 증권사 간 담합을 조장할 수 있다는 감사원의 지적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장효선 삼성증권 연구원은 “증권업황 개선을 위해선 무엇보다 주식거래 회전율과 일평균 거래대금 등 지표의 회복이 중요하지만, 인구 고령화에 따른 투자문화 변화와 인덱스 위주의 투자 활성화로 이것이 쉽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