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벌어지면 넘기 힘든 부동산의 벽
학군 수요 몰리자 전셋값 급등
정부의 ‘12·16 부동산 종합 대책’이 발표된 지 2주가 흐른 12월 29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아파트 매매가와 전월세 가격 정보가 다닥다닥 붙어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2월 셋째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10%로 전주 상승 폭의 절반으로 줄어든 반면 전셋값 상승률은 우수 학군 이사 수요와 맞물리며 일주일 새 0.23% 치솟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월 500만원 버는 맞벌이 “서울 입성 포기”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에 사는 금융업계 종사자 A(32·여)씨는 2018년 결혼했지만 내 집 마련의 꿈을 접었다. 자영업자인 남편과 본인의 월급을 합하면 월 600만원 수준이고 결혼하기 전까지 6000만원을 모아 놨다. 신혼집으로 아파트를 찾던 A씨는 부모님과 시부모님으로부터 각각 4000만원을 지원받았지만 1억 4000만원으로 아파트 전세를 구하기는 불가능했다. 결국 8800만원을 대출받아 2억 2000만원 전세로 현재 살고 있는 다세대주택에 입주하게 됐다. A씨는 27일 “아무리 모아도 아파트를 분양받기는 불가능할 것 같아 지금 사는 다세대주택에 계속 전세로 살 것”이라며 “집 문제 때문에 출산은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결혼한 공무원 B(33)씨 부부도 월급을 합치면 500만원 정도이고, 결혼 전 1억원을 모았다. 하지만 경기 고양시 일산에 20평대 아파트 전세(2억 6000만원)를 구하기 위해 양가 부모님으로부터 3000만원씩 지원받고 1억원을 대출받을 수밖에 없었다. B씨는 “직장이 서울이지만 가진 돈으로는 서울에 투룸 오피스텔도 구하기 어려워 서울 입성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타워팰리스가 신혼집 “애 낳고 키우기 적당”
반면 오는 3월 결혼을 앞둔 금융업계 종사자 C씨(33)는 지난해 말 약혼녀와 함께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60평대를 24억원에 구입했다. C씨와 약혼녀 모두 강남 출신이고, C씨가 17억원, 약혼녀 측이 7억원을 각각 부담했다. C씨의 연 수입은 8000만원 수준이지만 어렸을 때부터 증여받은 현금이 있어 대출을 받을 필요가 없었다. C씨는 “처음에는 신혼집으로 전세를 알아봤지만 집값이 계속 오르는 것을 보고 지금 구입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면서 “신혼집이 신축 아파트는 아니지만 시설 관리도 잘돼 있어 애를 낳아 기르기엔 적합하다”고 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 따르면 1989년부터 지난해까지 직장인 월급이 5.5배 오르는 동안 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20배, 비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9.4배 상승했다. 평균적 직장인이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았을 때 강남의 25평 아파트를 사는 데 걸리는 시간은 46년, 비강남권은 21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서울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1-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