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부동산 대해부-계급이 된 집] 4. 부동산 신(新)계급 사회
57%가 처음 만난 사람에게서 질문 받아2030 젊은 세대는 ‘부동산 계급’ 인식 커
빚지더라도 강남 등 부촌 입성 욕망 강해
집값 좌우하는 건 교통·학군보다 ‘이미지’
강남 사람들은 되레 계급으로 생각 안 해
거주 만족도 94%… 비강남보다 20%P↑
연합뉴스
우리나라에선 인사처럼 건네는 이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가늠하는 게 일상화됐다. 사는 지역과 주택 형태 등은 현대판 호패처럼 작용하며 사람들의 머릿속에 ‘보이지 않는’ 계급을 만들어 낸다. 27일 서울신문과 공공의창, 타임리서치가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우리 사회의 이런 모습이 여실히 드러났다.
10명 중 6명(62.6%)은 상대방이 사는 지역을 들었을 때 사회·경제적 능력을 가늠한 적이 있다고 했다. ‘그런 적 없다’(33.6%)보다 2배가량 많았다. 젊은 세대가 자주 그랬다. 30대(74.7%)와 20대(19세 포함·64.9%), 40대(63.4%) 등에서 높은 응답률이 나왔다. 반면 50대(58.3%)와 60대 이상(56.4%)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부동산에 계급이 있다는 인식이 비교적 최근, 젊은 사람 위주로 형성됐다는 걸 시사한다.
‘부동산 계급사회’라는 책을 써 큰 호응을 받은 손낙구 보좌관(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중장년층은 집값이 지금처럼 오르기 전 여차여차해서 집을 장만한 경우가 많지만 2030세대는 부모 도움 없이는 내 집 마련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이런 좌절감이 젊은 사람들로 하여금 부동산을 부의 상징으로 바라보게 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부동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람들에게 ‘왜 강남 아파트에 살고 싶은가’라고 물어보면 ‘부의 상징’이란 답이 가장 많다”며 “특히 서울 집은 어느 구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사람들의 인식에 따른 서열이 구축돼 있고, 교통이나 학군보다 집값을 좌우하는 우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커뮤니티사이트 등 온라인에 종종 ‘강남 3구-왕족, 마용성-귀족, 서울 기타-평민’ 등과 같은 부동산 계급표가 올라오는 게 단순히 유머가 아닌 많은 사람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강남에 사는 사람의 거주지역에 대한 만족도(94%)는 상당하다. 비강남(72.8%)과 수도권(73.1%)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이다. 특히 ‘매우 만족한다’는 답변도 40.6%나 나왔다. 강남 3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매우 만족 응답이 10%대에 그친 것과 대비됐다. 강남 사람이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통(34.3%)이었다. 이 밖에 문화시설(16.9%)과 병원(14.6%), 안전(12.2%), 청결(10.2%) 등 여러 분야가 고른 선택을 받았다.
박해성 타임리서치 대표는 “우리 사회에서 부동산이 주거 공간보다는 자산으로서 계급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수단으로 인식된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부동산에 대한 국민 인식이 변화하지 않고는 정부가 추진하는 부동산 안정 정책이 기대만큼 효과를 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01-2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