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세상
  • [숫자로 읽는 세상]국민 10명 중 7명 “결혼 없이 남녀 동거할 수 있다”

    [숫자로 읽는 세상]국민 10명 중 7명 “결혼 없이 남녀 동거할 수 있다”

    국민 10명 중 7명은 결혼하지 않아도 남녀가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절반은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는데 결혼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결혼 자금 부족’이었습니다. 13일 통계청의 ‘2024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67.4%였습니다. 이는 2년 전보다 2.2% 포인트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 비중은 2012년 45.9%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2018년 56.4%, 2020년 59.7%, 2022년 65.2%로 꾸준한 상승 흐름을 이어왔습니다. 10명 중 5명은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52.5%로 2년 전보다 2.5% 포인트 올랐습니다. 남자가 여자보다 이 비중이 11.5% 포인트 더 높았습니다. 특히 미혼남녀의 경우 그 격차가 15.6% 포인트로 더 컸습니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결혼자금이 부족해서’가 31.3%로 가장 많았습니다. ‘출산과 양육이 부담돼서’(15.4%), ‘고용 상태가 불안정해서(12.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 [숫자로 읽는 세상] 온라인 구매 1위 품목은… 국내에선 ‘먹을 것’ 해외직구는 ‘의류’

    [숫자로 읽는 세상] 온라인 구매 1위 품목은… 국내에선 ‘먹을 것’ 해외직구는 ‘의류’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건 이제 예삿일이 됐습니다. 스마트폰과 PC로 상품을 고르고 클릭만 하면 순식간에 집 앞까지 배달됩니다. 직접 물건을 사러 나가는 불편함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는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이 온라인 쇼핑으로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품목은 뭘까요. 정답은 바로 ‘먹을 것’이었습니다. 6일 통계청의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상품군별 거래액 구성비가 가장 큰 품목은 ‘음식료품’으로 15.1%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음식 서비스’가 13.2%로 뒤를 이었습니다. 전체 온라인 쇼핑액 중 음식 관련 온라인 구매와 주문액이 28.3%에 달한 것입니다. 온라인 쇼핑 발달로 식생활의 편리성이 가장 크게 개선됐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특히 모바일 쇼핑으로 한정하면 음식료품(15.2%) 구매액 비중보다 음식 서비스(17.0%) 구매액 비중이 더 컸습니다. 배달의민족·쿠팡이츠 등 배달앱 활용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둘을 더하면 비중은 32.2%까지 커졌습니다. 다음으로 구매 비중이 큰 품목은 ‘여행·교통서비스’로 11.2%의 구성비를 기록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버스·기차 예약이 일상화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이어 ‘생활용품’이 8
  • [숫자로 읽는 세상]변호사·회계사 상위 10%가 소득 80% 차지

    [숫자로 읽는 세상]변호사·회계사 상위 10%가 소득 80% 차지

    변호사와 회계사 직군의 상위 10%가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등 주요 전문직 직군의 소득양극화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세청의 ‘2023년도 부가가치세 신고납부액’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변호사의 지난해 과세표준은 총 8조 7227억원이었다. 각종 비과세·공제를 제외하고도 수입이 9조원에 가까웠다는 의미다. 상위 10%(905건) 변호사의 과세표준이 6조 7437억원으로 전체의 77.3%를 차지했다. 신고건수는 9045건(법인·개인 합산)으로 평균 과세표준은 9억 6400만원이었다. 개인이 약 4억 5000만원, 법인은 22억 7000만원이었다. 반면 과표가 연간 4800만원에 못 미치는 신고분도 개인 1807건, 법인 214건으로 총 2021건이나 됐다. 전체 신고건수의 22%는 월평균 400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얘기다. 과표가 0원으로 아예 매출이 없다고 신고한 건수도 697건(개인 616건·법인 81건)이었다. 회계사도 소득양극화가 뚜렷했다. 지난해 회계사 직종의 부가세 신고건수는 2190건, 과세표준은 5조 9671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위 10%(219건)가 4조 7594건
  • [숫자로 읽는 세상] ‘암’ 41년째 사망 원인 부동의 1위… 男사망률 女의 1.6배

    [숫자로 읽는 세상] ‘암’ 41년째 사망 원인 부동의 1위… 男사망률 女의 1.6배

    의학이 고도로 발달했지만 암은 쉽게 정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암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후 지난해까지 41년째 사망 원인 1위 자리를 지켰습니다. 아마 통계가 없는 그 이전에도 아마 암은 인류의 생명을 가장 많이 빼앗아 간 원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 사망 원인 통계 결과’에 따르면 인구 10만명당 암에 의한 사망자 수를 뜻하는 암 사망률은 166.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보다 4.1명(2.5%) 늘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204.9명, 여성이 128.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남성은 4.3명(2.1%), 여성은 3.9명(3.1%) 높아졌습니다. 여성보다 남성이 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약 1.6배 높다는 의미입니다. 암 종류별로는 폐암이 36.5명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다음으로 간암 19.8명, 대장암 18.3명, 췌장암 15.0명, 위암 14.1명 순이었습니다. 사망률이 높은 암일수록 완치가 어렵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전년보다 사망률이 늘어난 암은 전립선암(9.1%), 자궁암(8.4%), 백혈병(6.5%)이었습니다. 최근 부쩍 늘어난 암의 종류인 셈입니다. 유방암(-0.8%), 간암(-0.5%), 식도암(-
  • [숫자로 읽는 세상]상경한 청년, 지방보다 소득 35%↑… 행복감은 낮아

    [숫자로 읽는 세상]상경한 청년, 지방보다 소득 35%↑… 행복감은 낮아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19~34세)이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보다 소득이 35% 더 많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삶의 행복감은 더 낮고 ‘번 아웃’(소진) 경험도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일 통계청의 ‘통계플러스 가을호’에 소개된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과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삶의 질 비교’ 연구를 보면 2022년 기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연간 총소득은 2743만원이었습니다. 이는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의 소득 2034만원보다 34.9%(709만원) 더 높았습니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취업 비율도 72.5%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6.4%)보다 6.1% 포인트 높았습니다. 이는 수도권에 남은 청년(70.7%)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떠난 청년(70.6%)의 취업 비율이 큰 차이가 없는 것과 대조됩니다. 다만 ‘삶의 질’은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이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보다 더 높았습니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1인당 주거 면적은 32.4㎡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36.2㎡)보다 3.8㎡ 좁았습니다. ‘최근 1년 동안 업무·학업·취업 준비 등으로 소진됐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42.0%로 비수도권
  • [숫자로 읽는 세상] “서울 사람은 아이 늦게 낳는다” 사실이었다

    [숫자로 읽는 세상] “서울 사람은 아이 늦게 낳는다” 사실이었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다른 지역보다 아이를 안 낳거나 늦게 낳는다고들 합니다. 다른 지역보다 커리어 우먼이 많고 바쁜 직장 생활을 하느라 자녀를 낳을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곁들여집니다. 이런 속설은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실제로도 서울에 사는 여성이 전국에서 결혼 후 가장 늦게 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일 통계청의 2023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첫째아를 출산하기까지 결혼생활 기간은 서울이 2.7년으로 전국에서 가장 길었습니다. 년·월·일로 환산하면 2년 8개월 12일 만입니다. 임신기간 10개월을 빼면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결혼 후 적어도 1년 10개월이 지나야 아이를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전국 평균 첫째아 출산까지 결혼 생활 기간은 2.5년이었습니다. 통상 결혼 후 평균 2년 6개월 만에 자녀를 출산한다는 뜻입니다. 다른 지역은 경기 2.6년, 부산·인천·세종 2.5년, 대구·충남·경남 2.4년, 대전·울산·충북·전북·경북·제주 2.3년, 강원 2.2년, 광주·전남 2.1년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반적으로 대도시 지역에 사는 여성이 결혼 후 아이를 늦게 낳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엄마의 평균 출산 나이도 서울이 34.6
  • [숫자로 읽는 세상]밀레니얼세대 절반은 수도권 산다…모든 세대 중 최고 비중

    [숫자로 읽는 세상]밀레니얼세대 절반은 수도권 산다…모든 세대 중 최고 비중

    밀레니얼(M)세대(1980~1994년생·25~40세)의 수도권 거주 비율이 절반을 넘겨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세대와 Z세대(1995~2005년생)를 아우르는 MZ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환경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는데요. 아이러니하게도 실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적었습니다. 21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통계플러스 봄호에 실린 ‘세대별 사회안전 및 환경의식’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는 2020년 11월 1일 기준 총 1629만 9000명으로 총인구의 32.5%를 차지했습니다. M세대가 1033만명(20.6%)으로 X세대(1964~1979년생) 1307만 1000명(26.1%)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Z세대는 596만 9000명(11.9%)이었습니다. 세대별로 수도권 거주 비중을 보면 M세대는 54.9%, Z세대는 50.2%였습니다. MZ세대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사는 셈입니다. X세대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50.8%에 그쳐 X세대가 모든 세대 중 수도권 거주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MZ세대는 기성세대보다 환경 문제에 민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환경을 보호하려는 노력은 적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 [숫자로 읽는 세상]“집밥보단 외식?”…1인당 쌀 소비 50년 새 절반으로 ‘뚝’

    [숫자로 읽는 세상]“집밥보단 외식?”…1인당 쌀 소비 50년 새 절반으로 ‘뚝’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5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내려앉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한 사람이 먹는 하루 쌀 섭취량이 매년 4% 가까이 줄어드는 가운데 ‘외식’ 쌀 섭취량이 ‘집밥’을 넘어섰습니다. 7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통계플러스 봄호에 실린 ‘하루 세끼, 우리는 쌀을 어떻게 소비할까’ 보고서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kg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소비량을 기록한 뒤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감소세가 시작됐습니다. 2022년에는 최고치의 절반을 밑도는 56.7kg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인당 하루 쌀 섭취량은 2013년 172.9g에서 2019년 137.2g으로 줄어들면서 연평균 약 3.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공깃밥 한 그릇이 쌀 100g이라고 하면 한 사람이 하루 평균 한 공기 반도 먹지 않는단 의미입니다. 외식 쌀 섭취량이 집밥을 앞질렀습니다. 외식과 집밥인 내식으로 구분해 끼니당 쌀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2013년 기준 한 끼니당 평균 쌀 섭취량은 내식이 65.2g, 외식이 62.6g으로 2013~2015년는 내식 끼니당 쌀 섭
  • [숫자로 읽는 세상]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대화할 땐 엄마 더 찾는 청소년들

    [숫자로 읽는 세상]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대화할 땐 엄마 더 찾는 청소년들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누구나 어릴 때 이런 질문을 받고 고뇌에 빠진 적이 있을 겁니다. 눈치 없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엄청난 후폭풍이 몰려옵니다. 가정의 평화를 위해 가장 현명한 답은 “둘 다”일 것입니다. 너무 솔직해도 탈입니다. 때론 하얀 거짓말도 필요한 법이죠. 하지만 현실에선 정답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엄마를 꼽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습니다. 이런 가설을 간접적으로 입증할 만한 통계를 찾아봤습니다. 24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실린 ‘국제 아동 지표 체계 기반 수도권 아동·청소년 웰빙 현황’에 따르면 2020년 수도권 청소년(12~17세) 중 ‘부모님과 충분히 대화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아버지 52.7%, 어머니 73.7%로 나타났습니다. 비수도권은 아버지가 49.9%, 어머니가 73.5%로 집계됐습니다. 수도권이든 비수도권이든 청년층 10명 중 7명 이상은 어머니와 충분히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아버지와 충분한 대화를 나눈다고 답한 비율은 2명 중 1명에 그쳤습니다. 뒤집어 보면 2명 중 1명은 아버지와 충분한 대화를 하지 못한다는 얘기죠. 자녀와의 대화 비중에서 보면 청소년은 아무래도 아버지보단
  • [숫자로 읽는 세상] 2020년대 들어 호우 피해 더 심해졌다…제일 취약한 곳은 ‘부산’

    [숫자로 읽는 세상] 2020년대 들어 호우 피해 더 심해졌다…제일 취약한 곳은 ‘부산’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된 지 5일째입니다. 낮에는 맑았다가 밤이 되면 비가 쏟아지는 ‘극한 호우’로 전국에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데요. 10일 새벽 2시쯤 충남 서천에는 1시간에 111.5mm의 비가 쏟아지면서 기상청이 “200년에 한 번 나타날 수준의 강수 강도”라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호우로 인한 피해는 최근 들어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집중호우로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 2022년에는 경북 포항 지하주차장 참사 등 호우로 인한 대형 인명 피해도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통계를 살펴보니 호우는 이제 여름철의 ‘뉴노멀’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이 지난해 발간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 중 ‘기후변화와 재해취약성’ 보고서를 살펴보면 태풍과 호우, 대설, 가뭄, 지진 등 자연재난 중 호우의 발생 횟수가 뚜렷한 증가세 를 보였습니다. 1987년 10회, 1988년 10회, 1989년 14회 등 두 자릿수였던 호우의 발생 횟수는 1992년 8회를 기록한 이후 약 20년간 한 자릿수를 유지했습니다. 2010년 7회, 2011년 6회 발생했던 호우는 2012년 11회, 2013년 18회로 증가세를 키우더니 해마다 10회 이상
  • 코로나 이후 ‘오락·문화 지출’ 월 21만원…단체여행비 ‘최대’[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 이후 ‘오락·문화 지출’ 월 21만원…단체여행비 ‘최대’[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감소세를 보이던 오락·문화 지출이 엔데믹 이후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을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단체여행비가 지출 비중이 가장 높아진 점과 소득이 높을수록 오락·문화 지출이 큰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3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2019~2023년)를 통해 본 가구의 오락·문화 지출 변화’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오락·문화 지출은 2019년 18만원에서 2020년에는 14만원으로 주저앉았습니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단체여행비 등 외출 관련 활동의 지출이 급감한 영향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면서 오락·문화 지출도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이후 오락·문화 지출은 점차 상승해 2023년에는 20만 1000원까지 늘었습니다. 물가 변동을 고려한 실질 가구당 월평균 오락·문화 지출도 2019년에 17만 8000원에서 2020년 14만원까지 급격히 줄었다가 엔데믹 이후 2023년에는 18만 7000원까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도는 수준으로 오락·문화 지출이 늘어난 것입니다. 단체여행비, 오락·문화 지출 중 최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