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세상]“집밥보단 외식?”…1인당 쌀 소비 50년 새 절반으로 ‘뚝’

[숫자로 읽는 세상]“집밥보단 외식?”…1인당 쌀 소비 50년 새 절반으로 ‘뚝’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4-08-07 16:00
수정 2024-08-07 1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개발원, 통계플러스 봄호
우리는 쌀을 어떻게 소비할까

이미지 확대
지난달 1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쌀을 사고 있다. 뉴스1
지난달 1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쌀을 사고 있다. 뉴스1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5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내려앉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한 사람이 먹는 하루 쌀 섭취량이 매년 4% 가까이 줄어드는 가운데 ‘외식’ 쌀 섭취량이 ‘집밥’을 넘어섰습니다.

7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통계플러스 봄호에 실린 ‘하루 세끼, 우리는 쌀을 어떻게 소비할까’ 보고서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kg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소비량을 기록한 뒤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감소세가 시작됐습니다. 2022년에는 최고치의 절반을 밑도는 56.7kg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인당 하루 쌀 섭취량은 2013년 172.9g에서 2019년 137.2g으로 줄어들면서 연평균 약 3.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공깃밥 한 그릇이 쌀 100g이라고 하면 한 사람이 하루 평균 한 공기 반도 먹지 않는단 의미입니다.

외식 쌀 섭취량이 집밥을 앞질렀습니다. 외식과 집밥인 내식으로 구분해 끼니당 쌀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2013년 기준 한 끼니당 평균 쌀 섭취량은 내식이 65.2g, 외식이 62.6g으로 2013~2015년는 내식 끼니당 쌀 섭취량이 외식보다 조금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2016년부터는 외식이 내식을 역전해 2019년에는 외식이 59.4g, 내식이 49.3g으로 외식 쌀 섭취량이 10g 정도 많았습니다.
이미지 확대
지난 5일 강원도의 한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양곡 창고에 쌀이 잔뜩 쌓여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일 강원도의 한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양곡 창고에 쌀이 잔뜩 쌓여 있다. 연합뉴스
끼니별로 평균 쌀 섭취량을 살펴보면 2019년 기준 점심이 59.4g으로 가장 많고, 저녁 52.7g, 아침 45.3g 순이었습니다. 점심은 내식보다 외식의 끼니당 평균 쌀 섭취량이 많게 나타났지만 저녁은 내식 끼니당 쌀 섭취량이 외식보다 더 많았습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쌀 섭취량도 많았습니다. 연령별 하루 평균 쌀 섭취 끼니 수는 18~39세가 1.43회로 가장 적었고, 5세 이하(2.26회) 및 60세 이상(2.27회)이 비교적 많았습니다. 6~17세는 1.96회, 40~59세는 1.91회였습니다.

정미옥 통계청 사무관은 “2016년 이후 외식의 끼니당 쌀 섭취량이 내식 끼니당 쌀 섭취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외식 끼니당 쌀 섭취량이 내식보다 더 많았다”며 “끼니당 외식 섭취량은 해마다 크게 변동이 없는 반면 내식 끼니당 섭취량은 빠르게 감소하면서 이러한 역전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