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시티노믹스 시대
  • ‘파리의 실험’ 주목… ‘2040 프로젝트’ 추진

    ‘오래된 전통’을 사랑하는 유럽에서 변신을 꿈꾸는 곳은 파리만이 아니다. 중세유적으로 개발이 극도로 제한된 유럽연합(EU )의 수도 벨기에 브뤼셀에도 변화의 물결이 불고 있다. 점차 거대해져 가는 EU의 규모와 달리 이를 수용할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브뤼셀은 고민을 거듭해 왔다. 부족한 땅 때문에 프랑스나 스트라스부르 등으로 EU본부가 분산 배치됐고 결국 EU의 결집력 약화와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까지 빚어졌다. 이 모두가 브뤼셀 도심을 전면 재개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이에 따라 브뤼셀 주정부와 벨기에 당국, EU는 공동으로 ‘브뤼셀 204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EU본부가 산재해 있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고층건물을 짓고 그 안에 모든 EU 사무실을 수용하겠다는 복안이다. 이 프로젝트 역시 그랑파리 디렉터인 크리스티앙 드 포잠바크가 맡고 있다. 실무 책임은 한국인 송현정씨가 맡고 있다. 송씨는 “현재 브뤼셀 도심 지역은 개발제한 속에서 불거져 나온 문제점들로 가득 차 있다.”면서 “이 같은 도시의 문제점을 최대한 개선하면서 도시 미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① 미래를 만드는 도시계획

    “정부안은 막대한 비용이 들어갈뿐더러, 4가지 계획이 모두 맞아떨어져야만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20년 동안 진행할 계획인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습니다.”(베르나크 세키) “현재 파리 외곽을 돌고 있는 A8 고속도로를 고가도로로 전환해 비용을 최소화하고 그 위에 순환 고속철도를 세우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크리스티앙 드 포잠바크) 지난 9월 중순, 파리 건축박물관 대회의실에 모인 80여명의 건축가와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지난해 발표된 ‘르 그랑파리’ 프로젝트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그랑파리 국제 아틀리에(AIGP) 행사였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그랑파리에 참여한 10개팀과 정부 관계자들을 한데 묶은 AIGP를 공식 정부기구로 구성, 회의를 정례화시켰다. 매월 한 차례 이상 회의가 열린다. 르 그랑파리 디렉터 포잠바크 사무실의 도시디자인팀장 송현정씨는 “공통의 주제를 놓고 10개팀이 순차적으로 발표한 뒤 난상토론이 이어진다.”면서 “9월 회의는 지난 4월부터 6개월간 진행된 교통시스템 개혁 회의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모임이었다.”고 설명했다. 교통시스템은 인구 1000만명이 넘는 유럽 제1의 지역
  • “역사·자연 보존… 글로벌·복지 도시로”

    서울의 근대 도시계획 역사는 20년도 안 됐다. 88서울올림픽을 거치고 1990년대에 들어서서야 비로소 서울의 모습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서울에 도시계획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1962년 도시계획법이 제정된 이후다. 1972년 ‘용도지역’ 개념이 도입됐고, 1981년 ‘공람공고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전문 개정이 이뤄지면서 이른바 민주적 도시계획의 틀이 만들어졌다. 공람공고를 통해 시민들이 참여하는 도시계획이 첫발을 내디딘 것이다. 1990년 ‘상세계획제도’ 도입은 기존 용도지역 지구제와 함께 도시계획의 두 축을 형성하게 됐다. 1994년 남산 외인아파트 폭파 철거는 인간적인 도시로의 탈바꿈을 예고하는 사건이었다. 잘못된 도시계획은 폭파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석된다. 이후 서울은 남산제모습찾기, 역사탐방로 조성 등에 나서면서 본격적으로 서울의 모습 가꾸기가 시작됐다. 오늘의 서울도시계획은 ‘글로벌 서울’ ‘역사문화 서울’ ‘복지 서울’ ‘녹색 서울’ 조성에 맞춰졌다. 송득범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3일 “서울 도심재개발은 전면 철거방식보다 역사와 자연을 보존하는 수복재개발방식으로 바꿔가겠다.”고 밝혔다. 복지서울을 위한 실천으로는 다양한 임대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