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창으로 만나는 무대 위 ‘용비어천가’
조선시대 정악 중 최초의 한글 노래인 ‘용비어천가’가 합창으로 무대에 올랐다. 국립국악원은 25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세종의 신악-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을 선보였다. 신선희 서울예술대 교수가 연출을, 작곡가 계성원이 작곡을 맡았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대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다. 한글 창제 이후 최초의 국문시가로서 총 10권으로 되어 있다.
국립국악원이 용비어천가의 원문에 정악 선율을 창작한 합창을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해하기 어려운 용비어천가의 원문은 쉬운 우리말로 바꾸면서 운율을 살리고 원문의 순서도 재구성했다. 해동의 나라, 천명과 개국, 경천근민을 주제로 총 3장으로 구성된 이번 작품은 용비어천가가 편찬된 세종 시대를 중심으로 조선 건국의 탄생 배경과 천명으로 부여받은 왕실의 정통성, 군주로서 지녀야 하는 애민정신과 예악사상을 전한다.
합창과 함께 무대 위에 펼쳐지는 화려한 궁중무용과 영상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처용무, 몽금척, 문무 등 다양한 춤에서 차용한 동작은 용, 까치 등 갖가지 동물과 궁중의식에 쓰인 움직임 등으로 형상화됐다. 검정막 위에 황금빛으로 투영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