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이 코로나19 관련 각종 정보를 검색하는데 쓰는 시간이 하루 평균 2시간이나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사태가 일상생활 곳곳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결과이지만 정보를 더 검색할수록 더 우울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정선재·김현창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14∼21일 수도권 주민 2035명(자가격리자 18명 포함)을 대상으로 하루 평균 코로나19 정보 검색 시간을 조사한 결과 전체는 평균 2시간, 자가격리자는 평균 2시간 18분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자가격리자가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구하는 시간이 더 긴 것은 그만큼 불안감이 크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조사에서 자가격리자는 대표적 정신건강 지표인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점수가 평균 24.6점으로 일반인 평균 10.2점의 2.4배에 달했다.
코로나19가 특히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많은 사람에게 우울감을 가져온 것으로 평가됐다. 2013년 같은 연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 증상 비율은 7.7%에 그쳤지만 이번에는 59.9%로 7.8배나 상승했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개연성도 관찰됐다.
정 교수는 “정보 탐색에 너무 집착하면 과도한 불안과 걱정을 유발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정신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가급적이면 질병관리본부와 같은 국가기관에서 확실한 근거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정보를 신뢰하고 자극적 뉴스는 읽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가격리자는 그 자체가 심리적 트라우마로 작용할 뿐 아니라 격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심각해지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코로나19의 장기화 추세에 맞춰 일반 시민과 의료인, 격리된 사람들 각각의 상황에 맞는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정선재·김현창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14∼21일 수도권 주민 2035명(자가격리자 18명 포함)을 대상으로 하루 평균 코로나19 정보 검색 시간을 조사한 결과 전체는 평균 2시간, 자가격리자는 평균 2시간 18분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자가격리자가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구하는 시간이 더 긴 것은 그만큼 불안감이 크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조사에서 자가격리자는 대표적 정신건강 지표인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점수가 평균 24.6점으로 일반인 평균 10.2점의 2.4배에 달했다.
코로나19가 특히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많은 사람에게 우울감을 가져온 것으로 평가됐다. 2013년 같은 연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우울 증상 비율은 7.7%에 그쳤지만 이번에는 59.9%로 7.8배나 상승했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개연성도 관찰됐다.
정 교수는 “정보 탐색에 너무 집착하면 과도한 불안과 걱정을 유발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정신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가급적이면 질병관리본부와 같은 국가기관에서 확실한 근거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정보를 신뢰하고 자극적 뉴스는 읽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가격리자는 그 자체가 심리적 트라우마로 작용할 뿐 아니라 격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심각해지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코로나19의 장기화 추세에 맞춰 일반 시민과 의료인, 격리된 사람들 각각의 상황에 맞는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