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병원·공공의료 총동원해도 2~3주가 한계”

“軍병원·공공의료 총동원해도 2~3주가 한계”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02-20 23:25
수정 2024-02-21 06: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기화 땐 비상의료체계 붕괴 우려
정부 “2차 병원 등으로 환자 분산
집단행동 길어져도 버틸 수 있어”

이미지 확대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대란이 가시화하면서 정부가 군 병원 12곳의 응급실을 민간인에게 개방한 20일 오후 경북 포항에 있는 해군포항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진이 민간인 환자가 올 것에 대비해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대란이 가시화하면서 정부가 군 병원 12곳의 응급실을 민간인에게 개방한 20일 오후 경북 포항에 있는 해군포항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진이 민간인 환자가 올 것에 대비해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정부가 군병원과 공공의료기관을 총동원했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결국 임계점에 다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의료계는 대체 인력을 투입해 대응하더라도 2~3주 정도면 고비에 부딪힐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일 “고비 이후 상황까지 내다보고 준비하고 있다”며 집단행동이 길어져도 버틸 ‘체력’이 있다고 자신했다. 개별 의료기관 사정만 들여다보면 2~3주가 고비지만 정부가 설계한 비상 진료체계가 자리잡으면 의료 부담이 종합병원급 2차 병원으로 분산되면서 장기전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대형병원이 중증·응급 수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위급하지 않은 환자는 작은 병원으로 분산시킬 계획이다. 구급차 이송 단계부터 중증·응급 환자만 대형병원으로 보내고, 대형병원이 증상이 가벼운 환자를 작은 병원으로 옮기면 건강보험으로 보상해 주기로 했다. 또 지역의 작은 병원들과 공공의료기관이 대형병원의 외래 환자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진료 공백이 장기화하면 초진 비대면 진료를 병원급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대형병원 외래 진료만 줄여도 진료 부담을 30% 정도 축소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했던 일이 주로 수술 보조와 수술 후 환자 관리였다. 교수들이 힘들더라도 이 일을 대신하고 올려 준 수가(의료행위에 대한 대가)로 임시 페이닥터를 고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작은 병원들이 적극적으로 대형병원 외래 환자를 받도록 병원협회 등과 협의했다”고 밝혔다.

대형병원 본연의 역할은 중증·응급 진료다. 하지만 경증 환자까지 대형병원으로 쏠리면서 지금의 기형적 의료체계가 형성됐다. 정부 안팎에선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형적 의료체계를 재정비해 제도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건은 시스템이 자리잡을 때까지 현장이 버텨 낼 수 있느냐다. 정부가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 등을 지원하더라도 의료인들의 피로도가 누적되면 시스템이 굴러갈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2024-02-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