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단계 피로감, 더 커진 양극화… 취약층 경제·심리방역 급하다”

“2.5단계 피로감, 더 커진 양극화… 취약층 경제·심리방역 급하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01-04 18:00
수정 2021-01-05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늘어나는 ‘방역 불복’… 전문가 긴급 제언

이미지 확대
새해 밝아도… 인력시장 고단한 출근길
새해 밝아도… 인력시장 고단한 출근길 신축년 새해 첫 출근일인 4일 새벽부터 서울 구로구 남구로역 인근 인력시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감을 구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일용직 노동자 일자리가 크게 감소하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뉴스1
지난해보다도 극심한 ‘코로나 블루(우울)’가 올해 마음건강을 덮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활동이 장기간 제한되고 사회계층별 양극화까지 심화하면서 불안과 우울, 분노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방역 수위가 높아지며 시설 폐업이 잇따르고 헬스장을 운영하던 50대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위험 수위에 다다랐다. 생존권이 위협받으면서 방역에 불복하는 이들도 생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2년째를 맞는 올해 경제적·심리적 타격을 가장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핀셋 경제·심리방역’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영문 국립정신건강센터장은 4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자살은 되레 약간의 회복 기미가 있을 때 발생한다”며 “코로나19 충격파가 가장 컸던 지난해보다 회복기에 들어설 올해 자살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살 예방 상담전화(1393) 통화건수는 2019년 8월 6468건에서 지난해 8월 1만 7012건으로 1년 새 2.6배 늘었고,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2018년 4.7%에서 지난해 5월과 9월 10.1%와 13.8%로 각각 급증했다.

통상 재난 초기에는 ‘맞서서 잘 이겨내자’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다 같이 어려우니 상대적 박탈감도 덜하다. 그러나 코로나19 2년째에 접어들며 경제가 조금씩 회복될 때 자신만 제자리라면 가까스로 지켜오던 심리적 방어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에 고소득층인 소득 4~5분위 가구의 근로·사업소득은 전년 같은 달보다 3.6~4.4% 감소하는 데 그친 반면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 소득은 17.2%나 감소하는 등 격차가 확대됐다. 코로나19의 충격이 저소득층에 집중돼 양극화가 고착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저소득층의 회복이 더딜 수밖에 없다.

우석훈 성결대 교수는 핀셋 심리방역을 해야 할 위험 계층으로 ‘20대·여성·장기실직·1인가구’를 꼽았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을 보면 코로나19로 고용이 가장 크게 감소한 계층은 여성, 20대 이하, 임시직 근로자였다. 우 교수는 “고립과 실직 등 정신건강 위험 요소가 겹친다면 자살이 증가하는 등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도 지난해 말 ‘코로나19 대응 자살예방 강화대책’을 마련했다. 염민섭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정신건강 지원 인력을 늘리고 영상상담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심층상담이 필요한 분들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하려면 자영업자에 대한 심리방역에도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 불복 등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생존권이 위협받는 상황이 계속되면 극단적 선택 등 또 다른 비극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정부가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때 심리지원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를 적극 연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1-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